오에 겐자부로, 인간의 파렴치한 욕망을 속시원히 폭로하다.

0
image_pdfimage_print

지금 당신의 눈앞에 한 가지 과제가 주어졌다. 당신이라면 다음 상황에서 어떤 선택을 하겠는가? 당신은 학원 강사로 일하고 있는 30대 남성이다. 내년에 사직할 예정이며 결혼한 상태이다. 아내는 아이를 출산했다. 하지만 아이는 무뇌아에 가까운 기형아이며 의사는 수일 내에 사망 가능성이 높다는데 아이는 죽지 않고 버틴다. 이 과제를 해결하는 방법은 두 가지이다. 첫 번째 아이를 포기하고 자신의 생활을 지키는 방법과 두 번째 아이를 살리면서 자신의 생활을 희생하는 방법이다. 이 문제에는 생과 사의 윤리적인 문제와 자신을 삶을 지키기 위한 인간의 본능이 뒤섞여있다. 노벨문학상 작가 오에 겐자부로는 이 상황을 자신의 삶에 직접 맞닥뜨렸다. 그리고 그 과정 속에서 드러나는 자신의 파렴치한 욕망, 자기 억압과 같은 우리가 그동안 마음 깊은 곳에 숨겨두었던 검은 욕망들을 수면 위로 드러내었다. 

지난 5일 한국근대문학관에서 도쿄대 심원섭 교수가 노벨문학상 수상자를 소개하는 프로그램의 첫 시간으로 1994년 노벨 문학상 수상자인 오에 겐자부로의 책과 인생에 관한 이야기와 함께 인간의 욕망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었다. 오에 겐자부로의 『개인적인 체험』에서 인간의 파렴치한 욕망, 자기 억압과 같은 검은 욕망들이 잘 드러나는데 다음 장면은 아이의 죽음을 소망하면서 양심과 갈등하는 주인공의 대화 장면이다.

“당신은 이 아이가 수술을 받아 회복하는 걸, 말하자면 내심 회복을 바라지 않는 거요?”
버드는 스스로 듣기에도 거북한 비열한 목소리로
“수술을 해도 정상적인 아이로 자랄 가능성이 희박하다면……”
버드는 지금 자신이 비열로 내려가는 비탈길로 한 발을 내딛었다는 것을, 비열함의 눈덩이가 최초의 회전을 시작했음을 느꼈다.
그러나 그 중에도 그의 열띤 눈은 의사에게 간절하게 빌고있는 것이다.
“직접 손을 대서 애기를 죽일 수는 없소.”
의사는 버드의 눈을, 혐오의 색깔을 띤채 거만하게 말했다.
-의사와 버드의 대화 장면-

“버드, 너 어젯밤 아기 꿈 꿨지?…….” 네가 갓난아기처럼 몸을 웅크리고 주먹을 꼭 쥐고 입을 잔뜩 벌리더니 응애, 응애 하고 울었었어. 잠든 채로“
“설마 그럴 리가 없어.”
“무서웠어. 그 상태로 네가 원래 상태로 돌아오지 않는 게 아닌가 생각했어.”
-아내와 버드의 대화 장면-

오에 겐자부로, 『개인적인 체험』

오에 겐자부로는 아이를 죽이고 싶은 소망을 서슴없이 의사에게 내비치는 자신의 모습에 거북함과 비열함에 몸서리를 느끼면서도 자신의 욕망을 스스럼 없이 있는 그대로 폭로한다. 두 번째 장면에서 그는 아이의 생과 사를 선택하는 상황에서 양심의 고뇌에 시달리는 인간의 내면을 잠든 채 갓난아기의 행동을 하는 자신의 모습으로 표현해낸다. 그리고 자신이 현재 처한 아이의 생과 사를 선택해야 하는 끔찍한 고통에서 해방되기 위해 가미코와 하룻밤을 보내며 욕정 인간의 가장 원초적인 본능으로 자기 자신을 치유하기도 한다. 오에 겐자부로는 작품에서 이와 같이 더럽고 추악하다고 생각해 숨기려만 했던 인간의 본능, 검은 욕망들을 거칠고도 단조로운 만연체의 문체로 폭로한다. 그리고 그것으로 치유를 받기도 하고 고통받기도 하며 인간과 추악한 욕망은 떨어질 수 없는 존재임을 인식한다. 오에 겐자부로의 폭로는 어쩌면 현대사회에서 우리가 감추려고만 해 곯았던 욕망들의 속 시원한 분출이다. 오에 겐자부로의 책들을 보며 감정, 욕망을 숨기는 것에 익숙해 결국 메마른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깊은 수면 아래에 가두워놓았던 욕망에 귀 기울이고 솔직하게 털어놓는 시간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문학이 있는 저녁 <인천에서 노벨문학상을 만나다> 특강은 11월 7일까지 매주 화요일 한국근대문학관에서 진행된다. 노벨문학상 작가들의 작품을 감상하며 작가들의 삶과 문학의 정수를 느끼길 바란다.

 

글, 사진/ 인천문화통신 3.0시민기자 최승주

Share.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