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잇 허스 리 kate-hers RHEE

0
image_pdfimage_print

인천아트플랫폼 입주작가 소개
올해 한 해 인천아트플랫폼에서 창작활동을 펼쳐나갈 2019년도 10기 입주 예술가를 소개합니다. 인천아트플랫폼 레지던시는 공모로 선정된 국내외 다양한 장르 예술가들의 창작 역량 강화를 위해 비평 및 연구 프로그램, 창·제작 발표지원 프로그램 등을 운영합니다. 한 달에 두 번, 인천문화통신 3.0을 통해 시각과 공연분야에서 활동하는 10기 입주 예술가의 창작과정과 작업세계를 공개합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Interdisciplinary visual artist Kate-hers RHEE (이미래/李未來) explores transnational identity and the construction of self, while discussing gender, migration, and global inequality. Her work engages with the assessment of, and post-colonial discourses surrounding ethnographic collections. She invents new cultural artefacts, ethnographic symbols and living breathing anthropology. Above all, her work seeks to be a catalyst for spiritual transformation through materiality and meticulous processes. RHEE was born in a poor neighborhood in Seoul, the dynamic capital city of South Korea. Rejected because of her gender (her birth parents had counted on having a son, after already birthing three girls, and being number four (an unlucky number in Asia), RHEE was abandoned immediately. Months later, RHEE was transnationally adopted to a racially segregated working class neighborhood in Macomb County, Michigan, where she grew up right outside of Detroit, in between the likes of Eminem and Kid Rock. Her experiences negotiating her position in-between, specifically black and white identities, are at the core of her artistic practice.

다원적인 시각 예술가 케잇 허스 리는 ‘젠더’, ‘이주’, ‘전 세계적 불평등’이라는 주제를 다루며, 초국가적인 정체성과 자아의 확립에 대해 탐구해오고 있다. 작가의 작업은 민족지학적인 수집품들을 둘러싼 후기 식민주의 담론과 이에 대한 비평과 깊이 관련 있다. 작가는 작업을 통해 새로운 문화적 가공품, 민족지학적 상징들 그리고 살아 숨 쉬는 인류학을 만들어 낸다. 작가는 서울의 한 가난한 동네에서 태어났다. 하지만 이미 세 딸을 둔 부모에게 고대하던 아들이 아니라 (아시아에서 불운의 숫자인) 네 번째 자식이었기 때문에, 태어나자마자 성별로 인해 버림받았다. 그 후, 인종 분리 지역이자 노동 계층이 주를 이루는 미국 미시간 주의 매콤 카운티에 입양된 작가는 흑인과 백인의 정체성 사이 어디에도 속하지 못하고 중간 어딘가에서 자신의 위치를 조율해야 했다. 이 경험은 현재 작가의 작업의 근간을 이룬다.

Exhibition view of ‘Archipelago’_Reinbeckhallen, Berlin, Germany_2018
ⒸPhoto credit: Aleks Slota

# Q&A
Q. Please tell us about your works, including your creation process.
I work interdisciplinary in performance, social intervention, sculpture and video. My praxis explores transnational identity and the construction of self, while discussing gender, migration, colonialism and global inequality. My current project engages with the (re)assessment of, and post-colonial discourses surrounding ethnographic collections and the archeological archive. I invent new cultural artefacts, ethnographic symbols and living breathing anthropology. Above all, my work seeks to be a catalyst for redemption and spiritual transformation through materiality and meticulous processes.

Q. 창작의 관심사와 내용, 제작 과정에 대하여
A. 나는 퍼포먼스, 사회 개입, 조각, 비디오와 같이 다양한 분야를 오가며 작업한다. 나의 작업은 주로 젠더, 이주, 식민주의, 세계 불평등의 문제를 다루며, 초국가적인 정체성과 자아가 어떻게 형성되는지를 탐구한다. 현재는 민족지학적 수집품과 고고학적 아카이브에 대한 재평가, 그리고 이를 둘러싼 후기식민주의 담론에 관한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작업을 통해 문화적 공예품, 민족지학적 상징, 살아 숨 쉬는 인류학 등을 새로이 만든다. 무엇보다 작업이 물질성과 세심한 작업 공정을 통해 구원과 영적인 변화를 위한 촉매가 되는 것을 추구한다.

 
Performance view of ‘Minimally Korean’_Participatory food performance_30 min_Humboldt Lab Dahlem Berlin, Berlin, Germany_2015
ⒸPhoto credit: Aleks Slota
  Installation view of ‘The Way To Apgujeong Rodeo’_‘Intersections’, Asian Art Museum, Berlin, Germany_2016
ⒸPhoto credit: Aleks Slota

Dual Nationality Holder Tongue Twister_HD video, color, sound loop, 16:9_10:37 min_2018
관련영상:  (바로가기▶)

Q. What do you think your representative work or exhibition is? Why do you think so?
My solo exhibition, Past Persephone, just opened on the 15th of March 2019 in the Meanwhile, Elsewhere project space of Galerie Irrgang in Berlin, Germany. In the exhibition, I draw on ancient cosmology legends, Native American and ancient Greek mythology, and East Asian historical (mis)memory about the Comfort Women. I incorporate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s associated with harvest and folk artefacts with modern beauty consumer goods. My artistic praxis subverts the male gaze and dismantles the orientalist perspective.

Q. 자신이 생각하는 대표 작업(또는 전시)은 무엇이고 이 이유는 무엇인가?
A. 
2019년 3월 15일에 진행된 나의 개인전 《Past Persephone》이 베를린의 갤러리 Irrgang의 프로젝트 스페이스 Meanwhile.Elsewhere에서 열렸다. 이 전시에서 나는 고대 천문학의 전설, 북미 원주민과 고대 그리스의 신화 그리고 ‘위안부’에 대한 동아시아의 역사적인 (잘못된) 기억으로부터 기인한 작업을 선보였다. 그리고 추수 때 사용하는 한국 전통 악기와 민속 공예품들을 현대의 미용품과 결합했다. 이러한 나의 예술적 실천은 남성의 시선을 전복시키고 오리엔탈리즘적 시각을 해체한다.

Installation view of Seven Sisters_Mixed media_’Past Persephone’, Meanwhile.Elsewhere, Berlin, Germany_2019
ⒸPhoto credit: Marcelina Wellmer

Q. About inspirations, motivations and episodes.
My research-based practice is intuitive and situated in both library research and studio practice. The starting point of a project tends to be autobiographical, that is, based on personal life experience. Major works have been created from my experiences living in Berlin as a foreigner for the past decade. For example, I felt compelled to make the interactive performance work, the German Speaking Project Part 2, after being physically threatened by Neo-Nazis on the public transportation in Berlin, as a reaction against growing racism and anti-immigrant sentiment in Europe. Later, the Chocolate Kiss series were produced, as I, as a non-White, non-Black foreigner, started confronting white Germans about the problematics with continuing to call a popular candy a racist name.

Q. 작업의 영감, 계기, 에피소드 등
A. 
나의 작업은 직관적이지만, 동시에 도서관에서 이루어지는 연구와 스튜디오 작업을 모두 수반한다. 작업은 개인적인 인생 경험을 기반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자전적인 성향을 띤다. 대부분의 작업은 지난 10년간 베를린에서 이방인으로 살아간 경험으로부터 창작되었다. 예컨대 베를린의 대중교통에서 네오 나치로부터 신체적인 위협을 받았던 경험에서 출발한 인터랙티브 퍼포먼스 작업 <German Speaking Project Part 2>는 유럽에서 증가하고 있는 반(反)이민 정서와 인종차별에 대한 반응으로써 만들었다. 이후 백인도 흑인도 아닌 이방인으로서 나는 백인 독일인들이 특정 브랜드의 유명한 사탕을 인종차별적인 명칭으로 지속하여 명명하는 문제를 마주하기 시작하면서<Chocolate Kiss> 연작을 제작하게 되었다.

 
Performance view of The 10 N-Kisses_Collaborative interactive performance with Daniel Dodd-Ellis and Marie Yan_30 min_’Archipelago’, Reinbeckhallen, Beriln, Germany_2018
ⒸPhoto credit: Aleks Slota

(no) regrets_HD video, 11:43, 16:9, color, B&W_2014
관련영상: (바로가기▶)

Q. About art and communicating with audiences
Art is always culturally, politically and socially specific, even when it’s not obviously marked. I understand that my references may not always be accessible and may require a little bit of work on the part of the viewer. However, I keep this potential enigma in mind and in each situation I make little tweaks in the installation process to provide more information to those who might be struggling to make meaning. Above all, I’m interested in providing an aesthetic experience to the spectator and I first seek a visceral response. After that I hope it activates curiosity so that s/he is interested in learning more.

Q. 예술, 그리고 관객과의 소통에 대하여
A. 
예술은 명백하게 표현하지 않을 때조차 문화적, 정치적, 사회적으로 특수하다. 작업이 참조하고 있는 지점은 이해하기 쉽지 않으며, 관람객의 입장에서 볼 때에 약간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사실도 잘 알고 있다. 하지만 나는 수수께끼 같은 면을 염두에 두고 각각의 설치 과정에서 작업의 의미를 이해하기 어려워하는 관람객을 위해 단서와 장치들을 마련하고자 한다. 무엇보다 나는 관람객에게 미적인 경험을 제공하고 본능적인 반응을 유도하는 것에 관심이 있다. 내 작업이 관람객에게 호기심을 일으키고, 그들이 작업에 대해 더 알고 싶어 하기를 바란다.

Exhibition view of ‘MuEon Daeon’_Korea Verband, Berlin, Germany_2019
Ⓒphoto credit: Aleks Slota

 
Installation view of ‘Homogenous Infiltration for Sogo’_Korean traditional hand drum, crocheted wool felt_40 x 24 x 6.5 cm_’I like Korea and Korea likes me’, Korean Cultural Center, Berlin, Germany_2018
ⒸPhoto credit: Aleks Slota
  Installation view of ‘The Female Shaman’_Mixed media: korean traditional hourglass drum, handmade crocheted wool and sewing thread_44×51×44 cm_2018 ‘Archipelago’, Reinbeckhallen, Berlin, Germany_2018
ⒸPhoto credit: Sebastian Eggler

Q. Please tell us about your future plans and working directions.
As a late bloomer, I am just getting my feet wet! But seriously, I never imagined that I would manage being a full time artist. It was only when I was in my second year of graduate school, already considered an “older student,” that I even contemplated becoming an independent artist. Before that I thought I was bound to work in museum education, already studying early child art education and working in pedagogy in two major art museums. In that moment, I won a coveted scholarship that not only would pay my tuition with a living expense until I graduated but also provided me a research stipend and a travel grant. With this newfound confidence, I set out to change the world for the better as an artist. And I’m still at it!

Q. 앞으로 작가로서의 작업 방향과 계획에 대하여
A. 
늦깎이 작가인 나는 이제 막 작업을 시작했다고 할 수 있겠다. 이전까지 나는 한 번도 스스로 전업 작가가 될 수 있다고 상상해본 적이 없다. 이미 ‘나이 든 학생’으로 여겨지던 대학원 2학년이 되고서야 독립적인 작가가 되는 것에 대해 고민했었다. 이미 유아 미술교육을 공부했고, 주요 미술관 두 곳에서 교육 쪽 일을 하고 있었던 터라 미술관에서 일해야겠다고 생각했었다. 대학원에서는 졸업할 때까지 학비와 생활비뿐 아니라 연구비와 여행비까지 제공해주는 모두가 탐내는 장학금을 탔다. 이렇게 얻은 새로운 자신감으로 작가로서 세상을 더 나은 곳으로 만들기 위해 나서게 되었고, 지금까지도 그것을 실현하는 중이다!

Mourning Becomes Electra(상복이 어울리는 엘렉트라)_Exhibition Poster

Q. 작품 창작의 주요 도구, 재료는?
A.


작가정보
 (자세한 내용 보러가기▶)

Share.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