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편한 세상을 불편하게 기록하는 작가 ‘최현석’

0
image_pdfimage_print

 

불편한 세상을 불편하게 기록하는 작가 ‘최현석’
스스로 붓을 놓는 날이 오기를 희망하며…

 1
어릴 적, 마틴 핸드포드의 『월리를 찾아라』라는 얇고 큰 책자를 본 적이 있을 것이다. 월리와 비슷하게 생긴 인물들이 손톱보다도 작은 크기로 빼곡하게 차여 있고, 월리보다도 더 월리 같은 그 수많은 인물들은 다양한 사건들이 일어나는 상황 속에서 분주하게 무엇인가를 하고 있다. 우선 책을 펴면 독자는 월리가 놓인 장소를 눈으로 확인한 후, 그 속의 사건들을 한곳 한곳 탐색하기 시작한다. 그렇게 이야기를 한번 훑고 나서면 이제야 정신을 차리게 된다. ‘나는 월리를 빨리 찾아야 돼!’ 최현석의 그림을 보고 있으면 어느 순간 ‘아차’하는 생각이 든다. 우선 큰 화폭 앞에 서면 작가가 그린 장소와 상황을 파악해보기도 전에 알록달록한 색채들과 섬세하게 그려진 대상들에 현혹되어 버린다. 그리고 미디어 매체를 통해 알고 있는 사건들이 화면에 등장함으로써, 관람자는 작품 가까이에서 흥미를 갖고 그림 속 상황들을 쉽게 대하길 시작한다. 그러다 한참 작품을 보고 있노라면 ‘아차!’ 알게 된다. 내가 보고 있는 저 그림이 편하지만은 않다는 것을.
기록화라는 것은 그렇게 무서운 것이다. 화려하고 뛰어난 언변으로 가득 찬 미디어 매체를 쉽게 접하는 오늘날, 우리는 미디어 신봉자가 되어가고 있다. 수박 겉핥기식으로 알게 되는 그 사건들은 개인의 사고 과정을 거치지 않고 미디어가 전해주는 대로 입력되기도 한다. 수많은 기록 속에서 진정한 기록으로 인정될 수 있는 것은 얼마나 될까? 작가 최현석은 그렇게 유머라는 코드로 편치 않은 그림을 그려나가고 있다. 그 작가의 이야기를 들어보고자 한다.

Q. 미술의 여러 방식 중 기록화를 접하게 된 배경이 있는가?
2009년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의례와 향연이라는 특별전이 열린 적 있다. 그곳에서 마주한 궁중기록화들은 나에게 감응과 불편함을 동시에 느끼게 했다. 왜 현대미술을 감상하는 데에 익숙한 나에게 기록화가 감응을 주었는지, 그리고 그와 동시에 왜 그렇게 나의 마음을 불편하게 만들었는지 생각해보았다. 기록화는 그동안 현대미술에서 접하지 못했던 매력을 갖고 있었다. 즉 쉽게 읽혀지는 형식과 레이어의 풀이 방식이었다. 그와 함께 기록화라는 도구의 사용 목적이 권력자들의 권위의식을 돋보이게 하는 박제화로서의 수단으로만 활용되어 왔다는 점에 불편함을 느끼게 된 것 같다.

2
Q. 기록이 갖는 힘을 역이용하게 된 계기가 무엇인가?

‘망치는 못을 박기 위해 사람이 만든 도구이다. 망치를 나쁜 사람이 무기로 사용해서 사람을 때려 죽였다고 했을 때, 그것이 망치의 잘못인가? 망치의 잘못이 아니다. 그렇다고 망치를 만든 사람의 잘못인가! 그것 또한 아니다. 망치를 사용한 사람의 잘못인 것이다.’
이처럼 기록화는 단순히 도구로 치면 못을 박는 망치처럼 도구에 지나지 않는다. 그래서 나는 ‘없앨 수 없다면 외면하는 것이 아니라’ 지금이라도 그 용도를 가치 있게 사용하면 되지 않을까? 생각해보았다.

Q. 작품 활동을 통해 전달하고 싶은 메시지는 무엇인가?
‘작품을 통해 혹시라도 현실에서 마주하는 불편한 것들이, 행복한 삶으로 구현될 수 있는 자그마한 가능성 내지 힌트를 머금을 수 있지 않을까? 그리고 꺼져가는 작은 불씨에 장작불 하나라도 되어 줄 수 있지 않을까? 그럼 이 쓸모없는 행동이 쓸모 있는 것이 되지 않을까?’라는 자그마한 희망을 갖는다. 예술가는 그 누구보다 목소리를 내는데 두려움이 없고, 행동할 수 있는 그런 것이 예술가가 지니고 있는 힘이라고 생각한다.

Q. 작품 감상 시, 깊게 봐야(생각해야)할 부분이 있다면?
나는 단 한 번도 기록화를 그리는 데 있어서 좋았던 것을 그린 적이 없다. 그래서 작가가 표현한 불편한 지점을 한번 찾아보면 좋겠다. 과거에는 기록화가 박제화였다면, 오늘날 나가 표현하는 기록화는 치부화(畵)이지 않나 생각한다.

3

Q. 최근 가장 관심을 갖고 있는 주제가 있다면?
벽화 지우기, 오늘날 상품으로 보이는 종교의 행보, 그리고 인천아트플랫폼에서의 생활 등이 있다.

Q. 기록화를 진행하며 경험한 인상 깊은 에피소드가 있다면?
서울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전반적인 모습을 표현한 기록화 중, 고지도 형상을 빌려 8미터에 달하는 화폭에 담아낸 작품 <국란도(國亂圖)>가 있다. 어느 날 그 작품을 충북 ○○시에 있는 전시관에서 전시할 기회가 생겼는데, 마침 시장님이 감상하시고는 나에게 우리 시를 이렇게 멋지게 그려주셔서 감사하다는 말을 하셨다. 나는 기록화의 언어가 쉬워서 누구나 작품의 내용을 이해하고 난 후, 좋고 나쁨을 평가할 줄 알았다. 하지만 아무리 작가가 쉽고 재미있는 언어를 사용한다 하더라도, 감상자가 진지하게 작품을 감상(이해)하려고 하지 않으면 아무리 좋은 내용을 담아낸 작품이라 하더라도 무용지물일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다시 한 번 반성하게 하는 좋은 경험이 있었다. 그리고 최근에는 토요창의예술학교에서 4주간 중학교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참여하게 되었는데, 수업 이전에 걱정했던 중학생의 모습(중2병)보다 사회를 바라보는 눈이 매섭고 솔직하다라는 생각을 하게 되다. 그러면서 현대미술로서 기록화가 지니고 있는 가치에 대한 작은 가능성을 다시 한 번 느껴지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4Q. 작가로서의 소망이 있다면?
나에게 작가의 의지로서의 소망이 있다면, 더 이상 ‘이상’이 이상으로만 표현되지 않고 현실로서 자연스럽게 구현되는 세상이 오는 것이다. 그렇게 된다면 나가 더 이상 붓을 들 이유가 사라지는 날이 될 것이다. 그 누가 뭐라 하기 이전에 나 스스로가 붓을 내려놓는 그 날이 반드시 왔으면 하는 것이 내가 생각하는 작가로서의 자그마한 소망이며 희망일 것이다.

Q. 향후 계획은 어떻게 되는가?
어쩌다 보니 개인전을 못한지가 3여 년이 흘렀다. 그래서 개인전을 소화할 수 있을 만큼의 작업량을 확보하는데 집중하고자 한다. 그리고 현재 입주 작가로 있는 인천아트플랫폼의 작업환경에 걸맞게 이전에는 쉽게 도전하지 못했던 실험적인 작업들 또한 시도하고자 한다.

정리 : 이아름/인천아트플랫폼 큐레이터

Share.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