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에서 ‘을’로 살아남기- 연극 ‘머리를 내어놓아라’

0
image_pdfimage_print

지난 6월 23일부터 25일까지 신포동에 위치한 다락 소극장에서 극단 작은방의 <머리를 내어놓아라>(신재훈 작, 연출)가 상연되었다. <머리를 내어놓아라>는 지난 달 대학로에서 큰 호응을 얻었던 혜화동1번지 6기 동인의 봄 페스티벌 [심시티] 연작의 하나로 인천에서 앙코르 공연을 하게 되었다. 연작 [심시티]는 도시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필요한 삶의 비용, 즉 개인의 피로나 고통, 소요되는 시간, 타인과의 비교에서 비롯되는 자괴감 등에 대해 고민하는 작품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중 <머리를 내어놓아라>는 도시에서 살아남기 위해 감정을 억누르고 숨겨야만 하는 노동자들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01
빨간 장갑과 넥타이
작은 소극장 무대를 연못 하나가 가득 채우고 있고, 그 안에 바위 하나가 놓여있다. 공연이 시작되면 손바닥이 빨간 목장갑을 낀 채로 연못 안에서 비질을 하고 있는 연못 관리인 이 씨가 보이고, 젊은 김 대리가 양복을 입은 채 팔짱을 끼고 앉아있다. 이 씨는 휴일에도 불러내 일을 시키는 김 대리가 못마땅하다. 이 씨는 계속해서 불만을 토로하지만, ‘빨간 손 주제에 감 놔라, 배추 놔라 하냐’는 김 대리의 말에 이내 감정을 누르고 허허 웃으며 일을 한다.
연못 청소를 하던 이 씨는 바위를 발견하고, 그 바위가 거북이로 환생한 죽은 문지기 백 씨라고 주장하기 시작한다. 백 씨는 신장병 때문에 신장 투석을 받으며 문지기 일을 하던 사람으로, 한 달 전 김 대리의 명령에 따라 일을 하느라 신장 투석 시간을 놓쳐 목숨을 잃었다. 이 씨와 식당 아주머니는 ‘나는 화장실을 안 가도 돼서 이렇게 문지기를 하는 거예요. 허허허’ 속없이 웃던 백씨를 회상한다.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등딱지 속에 머리를 숨기고 살아가는 거북이는 곧 살아남기 위해 웃는 얼굴 뒤에 감정을 숨기고 살아가는 ‘을’들의 모습이다.
김 대리는 어서 거북이를 연못 밖으로 던져버리라고 말하고, 살아있는 걸 어떻게 던지냐는 이 씨에게 김 대리는 어차피 흙으로 묻으면 다 죽는다며 윽박지른다. 넥타이를 맨 채로 나이 많은 노동자들을 ‘빨간 손’이라 비하하며 마구 부리고, 거북이의 목숨도 하찮게 여기는 김 대리의 모습에서 ‘을’들의 아픔에 공감하지 않고 그저 소모품 정도로만 여기는 관리자의 모습을 발견할 수 있다.

02

내 등딱지는 단단하다.
‘머리를 내어놓아라’라는 제목에서도 알 수 있듯이, 고대가요 ‘구지가’의 제의 형식을 빌려온 이 작품은 작품 전체가 도시에서 억압당하며 죽어가는 노동자들에 대한 추모와 애도의 제의라고 할 수 있다. 용역 깡패를 동원해 연못을 흙으로 덮고 거북이를 죽이려는 김 대리. 그런 그를 막아서던 이 씨와 식당 아주머니는 별안간 거북이로 변한다. ‘나는 목이 쑥 나온다.’ ‘내 등딱지는 단단하다.’고 중얼거리며 거북이의 주변을 맴도는 그들의 모습은 배경 음악과 어우러져 전통 제의마저 떠올리게 한다. 거북이를 향한 추모제는 곧 ‘을’이라 일컬어지는 도시 노동자에 대한 추모제다. 거북이에게 ‘머리를 내어놓아라’라고 말하는 것은 감정을 억누르고 숨기고만 살아왔던 노동자들 스스로가 자신의 감정과 의견을 당당하게 표현하며 살아가자는 다짐이기도 하다. 거북이의 주위를 맴돌며 거북이를 보호하는 이 씨와 아주머니는 김 대리에게 복종하며 일하던 이전과는 달리 꿋꿋하게 소신을 말하며 공격성도 감추지 않는다. 그들은 연대를 통해 목소리를 높이고 자신들을 보호한다. ‘갑’을 향한 ‘을’들의 반란으로 연대의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그러나 의릉에서 발견한 거북이가 죽게 되었다는 사실을 알고도 “더 이상 조선왕조 일에 개입하지 말아요. 우리는 그냥 우리 눈앞의 일에만 신경씁시다” 라고 말하는 이 씨의 모습을 통해 자신의 눈앞에 닥친 현실에 치여 연대에 실패하고 소시민의 모습으로 돌아갈 수밖에 없는 ‘을’들의 현실을 보여주기도 한다.

03
먹고 사는 것, 그 치사하고도 달콤한 유혹.
연못에 남아 거북이를 지키게 된 이 씨와 아주머니. 포클레인의 위협에도, 속절없이 흐르는 시간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꿋꿋하게 자리를 지킨다. 그러나 그들에게도 위기가 찾아온다. 도다리 쑥국이 먹고 싶다고 말하던 아주머니는 돌연 거북이를 가리켜 진짜 거북이가 아니라 바위일지도 모른다는 의심을 하기 시작한다. 거북이가 맞다 하더라도 백 씨 아저씨는 아닐 거라고 말하는 아주머니와 거북이도, 백 씨도 맞다고 말하는 이 씨는 갈등에 휩싸인다. 아주머니는 이내 자신은 거북이를 보았던 게 아니라 이 씨가 얄미웠던 김 대리를 향해 복수하는 모습이 속 시원해서 동조했던 것이라 자백한다. 마음이 돌아선 아주머니는 맛있는 음식들과 태어난 지 얼마 되지 않은 손자 이야기를 하며 화풀이는 이만하면 됐다고 이 씨를 설득하기 시작한다. 생태찌개를 들고 나타난 김 대리의 유혹에 아주머니는 넘어가버리고, 손자를 들먹이는 협박에 이 씨도 흔들리기 시작한다.
먹고 싶은 것을 먹고, 사랑하는 가족들과 함께 사는 것, 우리는 그것을 평범한 생활이라 부른다. 그들에게 평범한 삶이란, 돈이나 명예보다도 훨씬 더 달콤한 유혹이다. 결국 그들은 달콤한 삶의 유혹에 넘어가버리고 만다. 연못과 거북이는 흙에 덮여버리고, 또 다시 등장한 거북이를 이 씨는 바위라고 말하며 외면한다. 이 씨와 아주머니, 김 대리는 거북이를 외면한 채 막걸리를 마시며 아리랑을 부르고, 그렇게 공연은 막을 내린다.

갑각류는 딱딱한 껍질 속에 몸을 숨긴 채 살아가지만, 그 안의 몸은 너무나도 연약해서 한 번 겉껍질을 다치게 되면 회복할 겨를이 없이 그냥 죽게 된다고 한다. 살아남기 위해 자꾸만 단단한 껍질을 만들어 내고 그 안에서 살아가는 우리들. 점점 단단해지는 껍질과는 다르게 점점 연약해져 밖으로 내밀 수 없는 머리. 우리는 언제쯤 껍질 밖으로 머리를 내밀며 살아갈 수 있을까.

글/시민기자 김진아, 사진제공/극단 작은방

Share.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