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성냥의 과거와 현재를 반추하는 배다리마을의 성냥박물관

0
image_pdfimage_print

배다리성냥마을박물관의 탄생

2016년 4월 18일 배다리 마을 사람들의 오랜 사랑방이던 동인천우체국이 문을 닫았다. 오랫동안 지역의 터줏대감 역할을 하던 우체국의 간판이 내려지자 마을은 깊은 상실감에 빠졌다. 1926년 11월 1일 개국한 아흔 살 동인천우체국의 폐국은 인구 감소와 이용률의 저조로 인한 시대의 흐름이었지만 원도심의 쇠락을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슬픈 사건이었다. 그 후 지자체에서는 이곳을 활용하여 마을의 주민공동시설이나 쉼터와 같이 주민들의 공간으로 되돌리려는 많은 사업을 검토했지만, 여러 가지 문제가 겹쳐 진행하지는 못했다.

한편 인천 동구의 수도국산달동네박물관에서는 2017년부터 도시생활사 조사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5년 동안 송림동을 시작으로 송현동, 금곡・창영동 등 인천 동구 전 지역을 조사하는 마을 기획조사에서 인천의 근현대 산업사에 중요한 역할을 차지한 성냥공장이 빠질 수는 없었다. 조사팀은 이 과정에서 현재의 동인천우체국이 포함된 부지가 옛 조선인촌공장의 일부라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일제강점기 조선인촌주식회사(이하 조선인촌)의 규모와 사세가 조사팀이 흔히 생각하던 것보다 놀랍도록 컸다.

2018년 가을, 인천광역시와 국립민속박물관은 ‘2019 인천 민속의 해’를 맞이하여 마을박물관을 만드는 사업을 공모하였다. 우체국과 성냥공장의 상관성을 확인한 인천 동구청은 국립민속박물관 및 인천광역시, 건물 소유자인 우정청의 협력을 얻어 1년여 간 마을박물관을 만드는 사업을 진행하였다. 특히 국립민속박물관에서 전시를 맡아 ‘신 도깨비불! 인천성냥공장’이라는 주제로 인천의 성냥과 성냥공장의 모습, 서민생활사 중에 나타난 성냥의 다양성을 이 공간에 풀어놓았다. 오랜 기다림 끝에 공사가 마무리되고 드디어 배다리성냥마을박물관은 2019년 3월 개관하였다.

 
(자료1) 배다리성냥마을박물관 전경   (자료2) 개관 준비에 한창인 전시실 내부


배다리의 성냥공장과 사람들

19세기 후반 우리나라에 처음 소개된 후 초창기의 성냥은 서민들의 일상에서 쉽게 접하기 힘든 고급 수입품이었다. 성냥은 초창기에는 용어가 통일되지 못하고 인촌燐寸이나 석냥으로도 불렸다. 이 시기 세창양행에서는 성냥을 수입하였고 1886년 인천 제물포를 시작으로 서울과 대구에서 성냥 제조가 이루어졌다는 기록이 확인된다. 그러나 이는 기계화 설비를 갖춘 정식 공장이라기보다는 가내수공업 형태로, 성냥을 원하는 수요자들에게 원활한 공급을 이룰 수 없었다. 높은 가격과 원활하지 못한 공급에도 불구하고 기존과는 다르게 한 번의 마찰로 쉽게 불을 얻을 수 있는 성냥의 매력은 감소하지 않았다. 성냥은 짧은 시간 동안 급속도로 사랑받으며 조선인들의 일상생활에 파고들었다.

조선인촌은 금곡리 32번지에 근대적인 생산시설을 갖추고 1917년 설립되었다. 조선인촌이 위치한 인천은 성냥개비의 원료를 쉽게 공급받을 수 있는 교통이 편리하였으며 이는 인천을 비롯한 서울 등의 인근 도시에 제품을 판매하기 용이한 요인이 되었다. 또한 좀 더 지역을 좁혀보면 공장이 위치한 배다리 마을은 풍부한 노동력을 이끌 수 있는 공간이었다. 인천 동구의 금곡동과 창영동 일대를 이르는 배다리 마을은, 1883년 제물포 개항 이후 외국인 조계지에서 밀려난 조선인들의 구심점 역할을 하는 공간이었다. 조선인들을 위한 학교와 교회가 생겨났으며 삼거리에 열리는 생필품 시장은 사람들의 발걸음을 잦게 하여 거주지를 확장했다. 사람들이 모여들면서 성냥공장과 같이 노동력을 이용하기 위한 간장공장, 고무공장 등과 같은 산업시설도 속속들이 생겨났다.

 
(자료3) 일제강점기 조선인촌(주) 정문에서 바라본 공장 전경   (자료4) 조선인촌(주)에서 생산한 조선표, 쌍원표 성냥

조선인촌은 축전기, 축발기, 축열기, 상포접착기, 적린도포기 등 분야별 성냥 제조공정을 위한 전문기계를 도입하였다. 과거의 성냥제조는 크게 성냥개비와 성냥갑 제조공정으로 나눌 수 있다. 당시 성냥개비와 성냥갑을 모두 목재로 만들었기 때문에 나무를 해당하는 크기로 절단하는 작업부터 시작하였다. 성냥개비 형태의 원목은 머리 부분에 두약을 찍기 위해 축열기에 꽂고 축발기로 털어내는 과정을 거친다. 이를 나무로 재단한 후 종이상표를 붙인 성냥갑에 가지런히 담으면 완성된 제품이 나왔다. 성냥개비를 만드는 일은 기계 공정으로 이루어졌지만, 성냥개비를 담는 작업은 기계가 아닌 일일이 사람의 손으로 담을 수 밖에 없었다. 이는 별다른 기술이 필요하지 않아 여자직공이나 어린아이들이 노동에 동원되었다. 1938년 신문기사에 따르면 당시 조선인촌의 직공은 800명, 가정 부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2,800명에 달하였다고 하니 엄청난 규모였음을 짐작할 수 있다. 공장의 생산 물량과 그에 따른 성냥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만만치 않았다. 연구 논문에 따르면 당시 전국성냥공장에서 생산한 전체 생산량 10,903톤 중 5,217톤, 즉 47%를 조선인촌에서 생산하였다고 한다. 이처럼 배다리 성냥공장은 우리나라 성냥 보급에 앞장섰다. 성냥공장 주변의 마을 주민들도 이에 일조하며 살아왔다.

사라진 성냥공장의 추억

광복 이후 적산기업이었던 조선인촌은 미군정으로 강제 귀속되었다. 이에 따라 일자리를 잃은 조선인촌의 노동자들은 생산설비를 밀반출하거나 불하받아 성냥공장을 세웠다. 1950년대에는 조선인촌이 있던 인천 지역에 우후죽순으로 성냥공장이 들어선다. 조선인촌 이후 화수동에 위치하여 가장 사세가 컸던 대한성냥을 비롯하여 인천인촌, 인천성냥, 평안성냥, 고려성냥, 송현성냥, 한국성냥 등 10여개가 넘는 성냥공장이 등장한다. 아쉽게도 이 시기 생산하던 성냥이 모두 남아있지는 않지만 공장 주변의 주민들은 각각의 성냥 공장의 위치와 상표, 공장이 돌아가던 모습뿐만 아니라 공장에서 일하던 모습 등을 기억하며 증언한다. 인천의 성냥산업은 한일협정으로 염소산칼륨이 부산항으로 직수입되던 1968년대 이후 점차 쇠퇴하였다. 성냥산업의 공급과잉이 나타난 시점이기도 하였다. 이 와중에 일회용 라이터의 등장은 성냥공장을 폐쇄하게 만든 주요 원인이었다. 좀 더 불을 얻기 편한 라이터가 등장함에 따라 전국의 성냥공장은 점차 사라져갔다.

 
(자료5) 인천 대한성냥공장의 생산품   (자료6) 배다리성냥마을박물관에 전시된 전국 성냥

현재 인천의 성냥공장들은 모두 사라졌다. 그러나 백여 년 전 존재했던 성냥공장과 더불어 그 삶을 영위했던 주민들의 기억은 아직도 생생히 남아있다. 성냥공장을 보기 힘든 오늘날 이는 우리에게 새로운 자산이 되어 남았다. 그 자산을 발판으로 배다리를 찾는 관광객들에게 전시공간이자 주민들의 문화시설인 성냥마을박물관이 개관하였다. 앞으로 우리가 미처 알지 못하는 인천 성냥에 관한 더 많은 추억과 자료들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바라건대 이러한 자료를 자양분삼아 튼튼히 성장하며 자리매김할 수 있기를 바란다.

글  이보라 (수도국산달동네박물관 학예연구사)
사진 저작권 및 출처 수도국산달동네박물관

이보라 Bora Lee
홍익대학교 미술사학과 석사
수도국산달동네박물관 학예연구사(2008년~현재)
<성냥을 통해 본 우리의 옛날>(2008년), <6.25, 그 날 이후>(2011년), <인천의 영화광>(2014년), <추억 속의 우리 집에 가다>(2016년) 등 매년 지역사를 주제로 한 기획전시를 열고 있다.
2017년부터 인천동구 도시생활사조사를 기획하여 현재 『인천의 오래된 동네 송림동』, 『인천의 마음고향 송현동』 등 두 권을 발간한 공동저자이다.

Share.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