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블루, 긴 항해의 끝을 기다린다

0
image_pdfimage_print
다시, 코로나를 넘어서기 위하여
2020년 2월에 시작된 코로나가 이제 해를 넘기고 있다. 백신이 개발되어 접종 중이지만 공동체가 집단면역을 얻기에는 갈 길이 멀다. 인천문화통신은 올 첫 번째 기획으로 ‘코로나’를 내세웠다. 지루한 싸움이지만 절대 지거나 포기해서는 안 되는 것이기에 그렇다. 코로나와 관련한 예술현장의 목소리를 듣자는 취지에서 마련된 이 기획은 작년 인천문화재단이 발간한 코로나19를 감각하는 사유들의 연속기획이기도 하다. 가장 타격을 많이 받은 공연예술을 중심으로 청년 시각예술가와 예술 강사의 이야기를 들었다. 코로나 이후 인천시민들의 문화생활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알아보는 글도 실었다.

코로나 블루, 긴 항해의 끝을 기다린다

코로나 블루, 예술 강사의 삶 속 깊이 파고들다과연 아이들을 만날 수 있을까? 라는 막연한 불안감이 현실로 이어진 2020년, 문화예술교육계 역시 혼돈의 연속이었다. 이로 인해 한순간 실업의 위기에 처한 예술 강사들의 삶 역시 불안과 무기력함으로 이어졌다. 문화예술교육의 번영과 확산을 위한 작은 소명으로 시작한 일이 정지상태가 되어버리는 황당한 순간을 누가 예상이나 했을까? 특정 대상을 향한 원망보다는 예술 강사를 위한 사회적 대안 하나 없는 현실에 대한 원망과 좌절이 컸다. 예술 강사의 코로나 블루… 회복되지 않은 지독한 진통은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현실적 대안의 필요성당연하게 여겨졌던 것들이 더는 당연할 수 없는 뉴노멀 사회에서 새롭게 도래하는 문화예술교육의 흐름을 긍정적으로 수용하는 안목이 필요한 때이다. ‘언택트’라는 단어가 일상이 된 요즘, 문화예술교육에서도 언택트 교육은 이미 활성화되었다. 홀로그램, 가상현실, VR 등 첨단 기술을 접목한 실감형 콘텐츠 사례도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이 역시 장비를 구비하는 것은 물론 인프라 구축, 시간, 기술력에 관한 기반을 갖추어야만 가능하다는 점에서 한계에 부딪치곤 한다. 비대면 녹화를 위한 지원이나 방법론, 고민이나 어려움을 호소할 통로 하나 없는 상황에서 예술 강사들이 자체적으로 해결해야 할 것들이 만연했다. 물론 일부의 지원체계의 도움을 받은 바 있지만, 이 역시 극히 일부에 해당하는 지원책에 불과하다. 교육과정의 준비와 실행을 위한 무거운 짐은 예술 강사 개인의 몫인 셈이다. 예술 강사들이 코로나 블루를 해소하고 새로운 사회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현실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볼 수 있다.

팬데믹 상황을 대응하는 외국의 사례미국의 AEP(Arts Education Partnership, 이하 AEP)는 눈여겨 볼만한 사례이다. 코로나19로 인한 미국의 봉쇄 조치가 내려지자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문제와 이를 위한 대안 마련이 모색되었고 이는 AEP 내 별도의 교류의 창을 통해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하게 되었다. 온라인, 비대면 교육 전환에 있어 필요한 자원과 가이드, 활용 가능한 다양한 정부의 지원책뿐만 아니라 예술교육자, 교사, 학부모들로 구조화하여 문화예술교육에 필요한 자료와 팁, 대안들을 제시하는 플랫폼을 구축하게 된 것이다. 특히 방대한 링크와 자료를, 사용자가 즉각적으로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을 보유하고 있다.

코로나19, 우리나라의 대응현재 우리나라에서도 코로나19와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대응이 한창이다. 이를 주제로 전문가 대담이 다양한 방식으로 송출되고 있다. 또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대응지침)’페이지를 운영하는 것은 물론 2020년 코로나19 대응 긴급 지원사업으로 <어디서든 문화예술교육>, 그 후속사업으로 <비대면 문화예술교육>이 추진된 바 있다. 이는 코로나 상황으로 마주하게 된 비대면과 온라인 상황에서 ‘상호교감’ 할 수 있는 문화예술교육 방법론 및 콘텐츠를 발굴함에 목적으로 두고 <아트프리즘> 프로그램과 <아트앤테크> 챌린지가 운영되었으며, 아카이브 채널을 마련하기도 하였다. 또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온라인 라이브러리는 다양한 온라인 교육 활용자료와 콘텐츠 등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긴 항해의 끝을 기다리며프리랜서라 일컬어지는 예술강사의 삶은 예기치 않은 팬데믹 상황으로 강인했던 사명감, 농도 짙은 예술혼, 투철한 자긍심 등을 철저하게 흔들어 놓았다. 온갖 상상의 세계가 뒤흔든다. 야심차게 입단했던 프로 무용단원의 삶을 꽉 쥐고 있었어야 했나? 누군가가 했던 그럴듯한 스카우트 제의를 흔쾌히 허락했어야 했나? 아쉬울 게 없던 당당한 거절의 순간이 뒤늦은 후회로 다가오는 요즘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토록 간절히 염원하는 긴 항해의 끝을 기다려 본다. 2021년 3월, 바라고 바랐던 개학일, 여전히 우리 아이들은 학년별로 등교한다.
무용실에서 도란도란 창작무용을 만들고 자신의 개성을 뿜뿜 풍기며 포크댄스를 추던 유별나지만 매력 넘치는 우리 중딩들의 웃음소리가 그리워진다. 텅 빈 무용실이 낯설다. 예술강사들은 코로나19의 긴 항해를 각자의 풀이법으로 어렵지만 지혜롭게 헤쳐 나가고 있는 중이다.
현실적으로 볼 때, 좀 더 다양한 교육정책, 교육사업들이 폭포수와 같이 터져주면 좋겠다. 무언가를 재고 따지기보다는 지금까지 열심히 살아온 예술강사들을 그저 보듬고 위로해 주는 출구는 없을까 하는 바람이다. 또한 사회적으로 혹은 마을 중심으로 예술가와 예술교육자, 교사, 그리고 학부모, 예술단체(기관)가 커뮤니티를 조성하여 자원을 확보하고 실질적으로 현장 적용 가능한 자원 공유를 위한 플랫폼, 즉 교류의 장이 절실하게 필요하다고 본다. 외국의 사례를 모방하기보다는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유용한 문화예술교육 플랫폼 구축을 통해 코로나, 팬데믹 상황을 극복하고 뉴노멀 사회에서 유연한 시각으로 교육현장을 찾아갈 예술강사들의 행보를 응원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강선미
인천에서 학교예술강사로 활동하고 있다. 무용을 전공했다.

Share.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