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최초의 종합잡지- 「소년」(창간호)

인천문화재단 한국근대문학관은 전국 유일의 공공 종합문학관입니다. 근대문학을 중심으로 한 근대 한국학 자료 약 3만 점을 소장하고 있는 콘텐츠 중심형 문학관이기도 합니다. 한 달에 두 번, 인천문화통신 3.0을 통해 문학관이 소장하고 있는 희귀 자료를 쉽고 재미있게 소개하고자 합니다. 문학관에 직접 오셔서 한국 근대문학이 가진 의미와 매력을 느껴보시기 바랍니다.
 01 한국 최초의 종합잡지- 「소년」(창간호)
육당 최남선이 1908년 11월에 창간․발행한 우리나라 최초의 종합잡지이다. 일제 강점 1년 후인 1911년 5월, 통권 23호로 종간되었다. 현재 11월 1일은 잡지의 날인데, 이는 「소년」 창간일인 11월 1일인 데서 비롯된 것이다. 1906년 육당은 일본에 유학 중이었는데, 한국 황제를 주제로 한 모의국회 사건이 문제가 되어 조선 유학생들이 동맹 퇴학하자 이 때 인쇄 설비를 구입하고 귀국하여 발행한 것이 「소년」 잡지이다.

국운이 기울어진 대한제국 말, 이 잡지는 당시 ‘소년’(청년층)들에 대한 계몽을 창간․발행의 목적으로 했다. 잡지 표제인 ‘소년’은 새 시대와 역사를 만들어나갈 주역이 ‘소년’이어야 한다는 것을 상징적으로 보여준 것으로, 잡지 내용은 대개 ‘소년’이 중심이 되어 이루어내야 할 문명 개화의 여러 방향성에 대한 내용으로 이뤄져 있다.

「해에게서 소년에게」 등 신체시가 수록된 잡지로도 유명하며, 대한제국 말기와 일제 강점 직후 지식청년들의 정신세계를 극명하게 보여준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자료라고 할 수 있다.

함태영 / 한국근대문학관 학예사




순수 서정과 우리말 조탁의 훌륭함 청록집

인천문화재단 한국근대문학관은 전국 유일의 공공 종합문학관입니다. 근대문학을 중심으로 한 근대 한국학 자료 약 3만 점을 소장하고 있는 콘텐츠 중심형 문학관이기도 합니다. 한 달에 두 번, 인천문화통신 3.0을 통해 문학관이 소장하고 있는 희귀 자료를 쉽고 재미있게 소개하고자 합니다. 문학관에 직접 오셔서 한국 근대문학이 가진 의미와 매력을 느껴보시기 바랍니다.

01

순수 서정과 우리말 조탁의 훌륭함
청록집

청록집은 해방 1년 후 을유문화사에서 발행된 박목월, 박두진, 조지훈 3인의 합동시집이다. 박목월은 「청노루」, 「나그네」 등 15편, 박두진은 「묘지송」, 「도봉」 등 12편, 조지훈은 「완화삼」과 「승무」 등 12편 등 총 39편의 시가 수록되어 있다.

3인의 저자는 일제 말 「문장」 잡지를 통해 문단에 나온 시인들이며, 시집에 있는 작품 대부분은 「문장」지에 실린 것들이다. 한국 근대시의 대표적 절창으로 이루어진 「청록집」은 우리 자연을 소재로 한 순수 서정시집이자 아울러 우리 시어의 수준을 한 단계 높였다는 점에서 우리 문학사에 길이 남을 명품이다.

일제 말 암흑기에 창작된 작품들이 해방 후 책으로 묶여 나온 이 시집은 광복 전후 한국 시사를 연결해주는 작품집이자 해방 후 최초의 우리말 시집이라는 점에서 큰 의의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함태영 / 한국근대문학관 학예사




피서와 여가의 도시 인천, 방인근의 「마도(魔都)의 향(香)불 」

인천문화재단 한국근대문학관은 전국 유일의 공공 종합문학관입니다. 근대문학을 중심으로 한 근대 한국학 자료 약 3만 점을 소장하고 있는 콘텐츠 중심형 문학관이기도 합니다. 한 달에 두 번, 인천문화통신 3.0을 통해 문학관이 소장하고 있는 희귀 자료를 쉽고 재미있게 소개하고자 합니다. 문학관에 직접 오셔서 한국 근대문학이 가진 의미와 매력을 느껴보시기 바랍니다.
 01

피서와 여가의 도시 인천
방인근의 「마도(魔都)의 향(香)불」 

방인근의 「마도의 향불」은 한국 근대 대중소설을 대표하는 장편 작품이다. 저자인 춘해(春海) 방인근(方仁根, 1899~1975)은 주로 대중문학 방면에서 활약한 작가이지만, 1920년대 순 문예지 「조선문단」을 발간하고 최서해, 채만식, 한설야 등을 문단에 데뷔시켜 우리 근대문학의 발전에 크게 기여한 인물이기도 하다.

이 작품은 1932년 11월 5일부터 이듬해인 1933년 6월 12일까지 연재된 장편소설이다. 작품 제목의 ‘마도(魔度)’는 살인, 간통, 허위, 속임수 등이 판을 치는 서울을 가리키며, ‘향(香)불’은 이러한 마도 속에서 순수한 마음과 사랑을 가지고 이타적 삶을 사는 사람을 가리킨다.

인천(월미도)은 이 작품에서 여름 피서지로 등장(‘외나무 다리’ 장)한다. 애희는 무더운 여름, 영철과 기차로 인천 월미도에 와 해수욕을 한 뒤 바닷가 한쪽 구석에서 사랑을 속삭인다. 이 작품은 1934년과 1947년 단행본으로 출간되었으며, 1958년 영화로 만들어져 큰 화제를 모았다.

함태영 / 한국근대문학관 학예사




인천이 배출한 함세덕 희곡의 정수(精髓) 함세덕 희곡집 「동승」

인천문화재단 한국근대문학관은 전국 유일의 공공 종합문학관입니다. 근대문학을 중심으로 한 근대 한국학 자료 약 3만 점을 소장하고 있는 콘텐츠 중심형 문학관이기도 합니다. 한 달에 두 번, 인천문화통신 3.0을 통해 문학관이 소장하고 있는 희귀 자료를 쉽고 재미있게 소개하고자 합니다. 문학관에 직접 오셔서 한국 근대문학이 가진 의미와 매력을 느껴보시기 바랍니다.
 01

인천이 배출한 함세덕 희곡의 정수(精髓)
함세덕 희곡집 「동승」

올해로 탄생 101주년을 맞이한 함세덕은 인천이 배출한 최고의 극작가로 동랑 유치진과 함께 한국 근대 희곡의 양대 거장 중 한 사람이다. 함세덕은 1915년 5월 23일 인천 화평리(현 화평동)에서 5남매 중 장남으로 태어나 인천공립보통학교(현 인천창영초등학교)와 인천상업학교(현 인천고등학교)를 졸업했다. 함세덕의 조부는 인천을 대표하는 상인이었으며, 부친은 인천외국어학교(인천상업학교의 전신, 현 인천고등학교) 출신으로 모교 교사를 지낸 뒤 인천에서 상업 활동에 종사했다.

이 책은 35년의 짧은 생애를 보낸 함세덕의 대표작이자 유일한 작품집이자 희곡집이다. 이 책에는 「동승」과 「무의도기행」을 비롯한 그의 대표 희곡 다섯 편과 게재 작품에 대한 작가의 해설을 담은 ‘「동승」을 내놓으며’라는 제목의 해제 1편이 실려 있다. 함세덕은 이 책의 글들을 ‘전시대(前時代)의 유물’이라는 한마디로 정리하는데, 결국 「동승」 발간은 일제강점기 자신의 문학을 결산하고 해방된 조국에서 새로운 작품 세계로 나아가기 위한 작가의 다짐 차원에서 이뤄진 일임을 알 수 있다.

「동승」은 광복 후 해방기의 혼란 속에서 당대 메이저 출판사의 하나인 박문출판사에서 발간되었는데, 이 점만으로도 이 작품집의 중요한 가치를 엿볼 수 있다. 한편, 이 시기 박문출판사에서 발행된 책은 판권지가 거의 없는데, 이 책은 그렇지 않다는 점에서도 매우 흥미롭다. 마지막으로, 이 책에 세 번째로 실린 「해연」은 우리나라 최초의 등대가 세워진 팔미도를 배경으로 한 작품으로 한국근대문학관이 위치한 해안동이 배경으로 언급되는 유일한 근대문학 작품이다.

함태영 / 한국근대문학관 학예사




이해조 「빈상설」

인천문화재단 한국근대문학관은 전국 유일의 공공 종합문학관입니다. 근대문학을 중심으로 한 근대 한국학 자료 약 3만 점을 소장하고 있는 콘텐츠 중심형 문학관이기도 합니다. 한 달에 두 번, 인천문화통신 3.0을 통해 문학관이 소장하고 있는 희귀 자료를 쉽고 재미있게 소개하고자 합니다. 문학관에 직접 오셔서 한국 근대문학이 가진 의미와 매력을 느껴보시기 바랍니다.

1

이해조 「빈상설」
이해조의 「빈상설」은 <제국신문> 1907년 10월 5일부터 이듬해인 1908년 2월 12일까지 연재된 소설이다. 이 작품은 근대 문물과 제도가 유입되던 근대계몽기 서울의 명문 양반가를 배경으로 하여 축첩으로 인한 가정비극을 다룬 가정소설 유형의 신소설이다.

「빈상설」은 이해조의 두 번째 신소설 작품이자 이인직의 「혈의누」에 이어 인천이 등장하는 두 번째 신소설이기도 한데, 초창기 중요 신소설들에 인천이 등장하는 것으로 볼 때 우리나라 양대 신소설 작가인 이인직과 이해조가 인천을 매우 중요한 도시로 인식했음을 알 수 있다.

이 작품에서 인천은 집에서 쫓겨난 주인공 이난옥이 아버지를 찾아 제주로 가던 도중 조난을 당했다가 구조되어 상륙하는 곳으로 처음 등장한다. 이 때 이난옥의 눈에 비친 인천은 외국인지 우리나라인지 모를 정도로 외국인이 많은 국제 항구도시로 형상화된다. 인천은 이국 풍물이 가득한 기회의 도시였던 셈이다.

함태영 / 한국근대문학관 학예사




일확천금의 도시, 인천! – 춘원 이광수의 장편 <재생>

인천문화재단 한국근대문학관은 전국 유일의 공공 종합문학관입니다. 근대문학을 중심으로 한 근대 한국학 자료 약 3만 점을 소장하고 있는 콘텐츠 중심형 문학관이기도 합니다. 한 달에 두 번, 인천문화통신 3.0을 통해 문학관이 소장하고 있는 희귀 자료를 쉽고 재미있게 소개하고자 합니다. 문학관에 직접 오셔서 한국 근대문학이 가진 의미와 매력을 느껴보시기 바랍니다.

01 일확천금의 도시, 인천! – 춘원 이광수의 장편 「재생」
「재생」은 춘원 이광수가 1924년 11월 9일부터 이듬해 9월 28일까지 총 218회에 걸쳐 <동아일보>에 장백산인(長白山人)이라는 필명으로 연재한 장편소설이다. 「무정」과 「개척자」에 이은 3번째 장편소설로 삽화는 우리 근대 삽화의 선구자로 불리는 석영 안석주(1901~1950)가 그렸다.

이 작품은, 돈과 사랑 사이에서 고민하다 결국 돈을 선택하는 여인과 돈으로 인해 사랑하던 애인에게 배신당한 남자가 후일 부자가 되어 복수를 꿈꾼다는 내용을 가진 전형적인 통속 대중소설이다. 사랑과 다이아몬드 사이에서 결국 후자를 선택하고 사랑을 배신한다는 저 유명한 이수일과 심순애 이야기(「장한몽」(1913))의 이광수 식 버전이다.

이 작품에서 인천은 애인에게 배신당한 남자 주인공이 복수를 위해 일확천금을 꿈꾸는 곳으로 등장한다. 영원한 사랑을 맹세한 여인이 자신을 버리고 부자의 첩으로 가자 남자는 여인에 대한 복수, 즉 500만 원을 벌기 위해 인천에 내려와 미두중매소(오늘날의 증권회사)의 직원으로 취직하는 것이다. 현재 국민은행 신포동 지점 자리에 있었던 인천 미두취인소는 오늘날의 선물거래소와 같은 곳으로, 일제강점기 일확천금을 노린 사람들이 전국에서 몰려들던 곳이다. 이광수는 이 작품에서 인천과 미두취인소를 “거의 모든 계급, 모든 종류 사람들이 갑작부자를 바라고 사방에서 모여드는 곳”으로 그렸다. 또한 「재생」에는 월미도도 등장하는데, 월미도는 더위를 식히는 피서지이자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곳으로 인상 깊게 묘사되어 있다.

함태영 / 한국근대문학관 학예사




서시(序詩)의 시인 윤동주

인천문화재단 한국근대문학관은 전국 유일의 공공 종합문학관입니다. 근대문학을 중심으로 한 근대 한국학 자료 약 3만 점을 소장하고 있는 콘텐츠 중심형 문학관이기도 합니다. 한 달에 두 번, 인천문화통신 3.0을 통해 문학관이 소장하고 있는 희귀 자료를 쉽고 재미있게 소개하고자 합니다. 문학관에 직접 오셔서 한국 근대문학이 가진 의미와 매력을 느껴보시기 바랍니다.

1
 「서시(序詩)」의 시인 윤동주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는 윤동주의 유고시집으로 1955년 간행된 재판본이다. 연희전문 재학 시절 은사인 이양하가 일제 검열의 통과 여부를 걱정하여 출간을 만류해 시인의 생전에는 시집이 출판되지 못했다. 광복 후 동생 윤일주가 형 윤동주의 시 31편을 골라 초간본(1948)을 간행하였으며, 1955년 출판된 증보판에는 윤동주의 친구였던 정병욱의 자문을 바탕으로 총 93편의 시를 실었다. 5부로 구성된 증보판에는 「서시」가 시집의 첫머리에 실려 있다. 사회적으로 매우 혼란스럽고 경제적으로도 매우 어려웠던 해방기~1950년대에 재판을 찍었다는 사실은 윤동주가 일찍부터 큰 인기를 끌었음을 알게 해준다. 이 책은 현재 복각본으로 다시 출판되어 큰 인기를 얻고 있는데, 윤동주에 큰 관심을 갖게 한 커다란 계기를 제공한 책이다.

함태영 / 한국근대문학관 학예사




사후(死後) 간행된 김소월의 명작, 소월시초

인천문화재단 한국근대문학관은 전국 유일의 공공 종합문학관입니다. 근대문학을 중심으로 한 근대 한국학 자료 약 3만 점을 소장하고 있는 콘텐츠 중심형 문학관이기도 합니다. 한 달에 두 번, 인천문화통신 3.0을 통해 문학관이 소장하고 있는 희귀 자료를 쉽고 재미있게 소개하고자 합니다. 한국근대문학관의 함태영 학예사가 소개하는 우리 근대문학의 소중한 자산도 만나보시고, 문학관에 직접 오셔서 한국 근대문학이 가진 의미와 매력을 느껴보시기 바랍니다.

01
 사후(死後) 간행된 김소월의 명작, 소월시초

 「소월시초」는 김소월 사후에 출판된 유고시집으로 1941년 박문서관에서 나온 재판본이다. 이 시집은 김소월 평생의 스승이었던 김억이 엮은 것이다. 「소월시초」는 소월의 의도보다는 스승인 김억의 의도가 강하게 반영된 시집으로 알려져 있다.
시편 중 53편은 「진달래꽃에 수록되었던 것들이며, 「팔벼개 노래조(調)」를 포함한 나머지 25편은 시인이 생전에 잡지 등에 발표한 것과 소월 사후에 김억이 정리한 유작의 일부로 이루어져 있다. 말미에는 김소월의 유일한 평론인 「시혼(詩魂)」이 수록되어 있다.
이 시집은 32세로 생을 마감한 김소월의 작품을 최대한 모아 수록했다는 점에서, 소월의 문학 세계 전반을 살펴볼 수 있는 매우 귀중한 자료이다.
또한 이 책은 1939년 초판에 이어 2년 만에 재판을 찍었는데, 박문서관 발행 박문문고 시집 중에는 이례적인 경우였다.




우리말 시어의 탁월함 – 정지용, <지용시선>

인천문화재단 한국근대문학관은 전국 유일의 공공 종합문학관입니다. 근대문학을 중심으로 한 근대 한국학 자료 약 3만 점을 소장하고 있는 콘텐츠 중심형 문학관이기도 합니다. 한 달에 두 번, 인천문화통신 3.0을 통해 문학관이 소장하고 있는 희귀 자료를 쉽고 재미있게 소개하고자 합니다. 한국근대문학관의 함태영 학예사가 소개하는 우리 근대문학의 소중한 자산도 만나보시고, 문학관에 직접 오셔서 한국 근대문학이 가진 의미와 매력을 느껴보시기 바랍니다.

01
우리말 시어의 탁월함 – 정지용, <지용시선>

<지용시선>은 해방 후 정지용이 <정지용 시집>(1935, 시문학사)과 <백록담>(1941, 문장사) 등 두 시집에서 25편의 시를 직접 선별해 펴낸 시집이다. 이 시집은 총 6부로 구성되어 있다. 1부에서 4부까지는 <지용시집>에서 고른 14편을 싣고, 5부와 6부에는 <백록담>에서 고른 11편을 실었다. 초기의 실험적인 작품은 대부분 제외했고, 대신 4부에 종교(카톨릭) 체험을 소재로 한 신앙시 5편이 수록되어 있다. 그만큼 정지용에게 신앙이 정신적 구심점 역할을 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책은 을유문화사에서 나왔는데, 을유문화사 대표를 지낸 정진석은 생각만큼 책이 팔리지 않아 아쉬웠다고 회고한 바 있다.




광복 후 인천에서 발행된 향토월간지 문학산

인천문화재단 한국근대문학관은 전국 유일의 공공 종합문학관입니다. 근대문학을 중심으로 한 근대 한국학 자료 약 3만 점을 소장하고 있는 콘텐츠 중심형 문학관이기도 합니다. 한국근대문학관은 근대문학(1890~1948)의 역사를 쉽고 재미있게 소개하는 상설전시 외에 특정 주제를 중심으로 한 기획전시, 문학관의 희귀 소장품을 분기별로 전시하는 작은전시 등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한 달에 두 번, 인천문화통신 3.0을 통해 문학관이 소장하고 있는 희귀 자료를 쉽고 재미있게 소개하고자 합니다. 한국근대문학관의 함태영 학예사가 소개하는 우리 근대문학의 소중한 자산도 만나보시고, 문학관에 직접 오셔서 한국 근대문학이 가진 의미와 매력을 느껴보시기 바랍니다.

01

광복 후 인천에서 발행된 향토월간지 <문학산>
<문학산>은 정부 수립 후 인천에서 발행된 향토월간지 창간호입니다. 이 잡지는 한국근대문학관에서 처음 발굴 ․ 공개하는 것으로, 그 동안 전혀 알려지거나 전해진 바 없는 매우 희귀한 자료입니다.
“지역 문화의 향상과 전통적 도의정신 함양”을 표방하며 창간한 이 잡지는 인천의 연혁 ․ 공업 ․ 노동 ․ 금융 등은 물론 정치 ․ 문학 ․ 철학 ․ 보건위생 ․ 외신 ․ 경인철도 및 여객선 시간표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통권 몇 호가 발행되었는지는 확인할 수 없지만, 현재로서는 창간호가 곧 종간호가 된 것으로 보입니다. 향토지라기보다 종합 잡지 체제인 이 잡지는 광복 후 1940년대 후반 인천과 국내외 여러 현실 정보를 알 수 있는 귀중한 자료라고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