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광의 3월 프랑코포니 축제 “3월 30일 트라이보울”

∗ 갤러리 사진을 누르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사진/ 민경찬 문화통신 3.0 시민기자




영아티스트와 함께하는 벨라보체 BELLA VOCE 콘서트 “3월 18일 콘서트하우스현”

∗ 갤러리 사진을 누르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사진/ 민경찬 문화통신 3.0 시민기자




인천아트플랫폼 8기 입주 작가 ‘플랫폼살롱’

“반갑습니다.” 새로운 입주 작가들을 만나는 자리


‘살롱’이라고 하면 많은 사람들이 ‘헤어살롱’, ‘뷰티살롱’과 같은 미용실의 이미지를 떠올린다. 요즘은 미용실이나 다과점을 뜻하는 단어로 사용하지만, 살롱이라는 단어는 본래 객실이나 응접실을 뜻하는 단어였다. 17-18세기에는 귀족 부인들이 응접실을 개방하고 다른 귀족들과 문인들을 초대하여, 식사를 대접하고 작품을 읽으며 자유롭게 이야기를 나누던 사교모임을 의미하는 말이 되었다. 이후에는 문인뿐만 아니라 미술가들이 함께 참여하게 되면서 미술작품을 소개하고 서로 비평하는 자리로 발전했다.

지난 3월 29일 오후 2시, 인천아트플랫폼 B동 전시장 2층에서도 살롱이 열렸다. 고풍스러운 분위기의 테이블과 의자, 그리고 샹들리에까지. 18세기 프랑스에서 열리던 살롱의 모습을 그대로 재현해놓은 듯 했다. 인천아트플랫폼의 ‘플랫폼 살롱’은 8기 입주작가 프리뷰 전시 <2017 IAP 단편선>과 함께 진행하는 행사로, 이제 막 입주한 작가들이 본인의 작업 전반에 대해 설명하고 대중 또는 다른 입주작가들과 작품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는 시간이다. ‘플랫폼 살롱’의 첫 날이었던 당일의 주인공은 시각예술 분야의 강주현 작가, 범진용 작가와 공연예술 분야의 서영주 작가였으며, 인천아트플랫폼 이영리 큐레이터의 사회로 진행되었다.


맨 처음 발표를 진행한 강주현 작가는 사진과 드로잉을 통해 경험한 감각을 담아낸 작업들을 소개했다. 작가는 제주도 바닷가 시골마을에서 나고 자라며 느꼈던 자연에 대한 감성을 사진에 담고 싶었지만 사진 한 장에 담아내기는 역부족이라고 느꼈다. 대신 ‘사진조각’, ‘사진드로잉’과 같은 새로운 방식을 통해 사진을 변형하고 재구성하여 자신이 감각하고 경험한 대상을 구현하는 작업을 진행했다. 감각에 초점을 맞춘 작가는 오감을 느끼는 직업을 가진 운동선수, 미술가, 요리사 등을 인터뷰하였으며, 사진을 촬영하고 인화한 뒤 잘게 잘라 이어붙이는 형식으로 <DUPE-STYLE>이라는 작품을 만들었다.

이후 사물의 움직임에 초점을 두고, 움직임을 과학적으로 구현하는 방식을 고안했다. 애니메이션에서 연속동작으로 움직임을 보여주는 방식에 착안하여 선을 통해 움직임을 표현하는 설치 작업 <SKIN SUIT>을 진행했다. 그는 피부가 감정을 가장 마지막으로 드러내며 타인을 마주하는 가장 첫 번째 부분이며, 사진이 대상을 만나고 포착하는 순간이 피부와 같다고 인식했다. 또한 <떨어지는 의자> 작업에서는 드로잉의 결과물을 수많은 중첩을 통해 입체로 만들고 떨어지는 행위, 움직임을 표현하기도 했다. 버려진 오브제를 작은 선 단위로 쪼개 움직임을 표현하는 일련의 작품들을 보며 한 관객은 ‘몇 개월간의 수고로운 작업으로 하나의 작품을 만들어내는 섬세한 그의 작업에서 노동의 의미를 발견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범진용 작가는 20년간 꿈 일기를 써오면서 마주한, 현실에 없는 인물들과 이야기를 작업으로 연결했다. 초기에는 유화를 이용하여 꿈속에 자주 등장하는 인물을 표현하거나 자각몽(루시드 드림)의 내용을 그림으로 그렸다. 이후에는 도시 하천이나 폐쇄된 공원 등 현실 속에서 버려진 공간을 포착하여 꿈속의 인물들을 현실 공간에 배치해보는 작업을 하기도 했다. 그는 보통 어두운 내용의 꿈을 작업으로 연결하는데,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감정적인 소모가 크기 때문에 현실의 버려진 풍경을 그리며 작업의 균형을 맞춘다고 말했다.

8기 입주작가로 이날 ‘플랫폼 살롱’을 방문한 김순임 작가 역시 꿈을 소재로 다양한 작업을 해왔다. 같은 소재로 작업한 범진용 작가의 작품들에 대해 김순임 작가는 ‘꿈의 스토리를 그대로 재현하기 위해 기억이 날아가기 전에 급하게 키워드를 적거나 드로잉으로 기록하고는 한다. 꿈을 소재로 한다는 점에서 범진용 작가의 작업과 공통점이 있지만, 범 작가의 작업은 즉각적인 꿈의 기록이라기보다 콜라주의 방식으로 엮는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발표한 서영주 작가는 공연예술 분야 입주작가로, 지난해 인천아트플랫폼에 3개월 간 단기 입주했던 것을 계기로 올해 1년 더 인천에서의 활동을 이어가게 되었다. 작가는 통증과 상흔을 주제로 일관성 있는 작업을 진행해왔다. 초기작 <페이퍼맨의 추락>에서 만든 종이인형을 지속적으로 작품에 등장시켜 자신을 대변하고 관객을 만나는 매개로 사용한다. 종이라는 재질이 지니는 연약함과 불안정함을 자아를 드러내는 데에 적합한 요소로 보았다. 작가는 무대 위의 퍼포먼스 뿐 아니라 공연 영상을 촬영하고 재구성하거나 설치 작업으로 연결하는 등의 새로운 가능성을 탐구할 계획이다.


시각예술을 기반으로 시작해 공연예술 작업을 하고 있는 서영주 작가에 대해 동료 작가들은 ‘한 가지 분야를 선택하지 않은 채 경계가 모호한 작업을 이어간다면 각각의 분야에서 완성도에 대한 의문을 제기할 수 있겠다’는 우려를 보이기도 했다. 이에 대해 서영주 작가는 ‘<다뤄지지 않은 상흔>에서 설치와 퍼포먼스를 동시에 진행한 것이 그렇게 보일 수 있지만, 퍼포먼스 이후의 설치작업으로 봐주셨으면 좋겠다.’고 말하면서도 ‘인천아트플랫폼에 입주하는 이번 1년 동안 해결해야 하는 숙제를 정확히 짚어주셨다. 작업의 장르에 대한 분류는 이미 하고 있고, 이제 선택해야 할 때인 것 같다.’고 대답했다.

이처럼 ‘플랫폼 살롱’은 단순히 작가들이 자신의 작품을 소개하고 설명하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다양한 관객들, 동료 작가들과 이야기를 나누며 더욱 발전적인 작품 활동을 모색하는 자리로 이어졌다. ‘플랫폼 살롱’은 오는 4월 14일까지 매주 수, 금요일 오후 2시 인천아트플랫폼 B동 전시장 2층에서 진행되며, 매 회 3-4개 팀이 한 시간씩 작품소개와 관객과의 대화 시간을 진행한다. 8기 입주작가들의 프리뷰 전시인 <2017 IAP 단편선>은 오는 4월 30일까지 이어진다. 관람시간은 낮 12시부터 오후 6시까지이며 누구나 무료로 관람할 수 있다.

글/ 김진아 문화통신3.0 시민기자
사진/ 인천아트플랫폼 제공




인간의 불완전한 모순된 감정에 대해 말하다 <불완전한 인간> 전시


3월 23일부터 4월 28일까지 인천문화재단과 우리미술관이 주최한 ‘불완전한 인간’ 전시가 인천 동구 우리미술관에서 열리고 있다. 인간의 내면과 외면을 바라보는 시선의 차이의 생각부터 출발한 전시는 우리 모두가 불완전한 인간이란걸 보여준다. 자신 안에서 반복하여 고뇌하는 뇌와 마음 간의 이질적 상호작용, 내면과 외면의 온도 차이에 의한 불완전함으로 우리는 불완전한 인간이다. 이러한 불완전함은 느린데 빠르거나, 자연스럽지만 기계적인 느낌과 같은 모호한 감정들을 생성한다. 작가들은 이번 전시에 다양한 불완전한 감정들이 섞여있다고 말한다. 깨끗한 논리의 반영, 사회적 공간에 있지만 개인적인 것을 추구하는 감성, 세상을 움직이고 싶지만 그 또한 세상의 부품이라는 이율배반적 의미, 깨어있지만 꿈을 좇는 행위, 망각된 것을 다시 현재에 기억되게 만드는 노력이 그것이다. 이러한 작가들의 불완전한 인간의 모습이 표현된 작품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인세인박, [페미니스트])

인세인박 작가의 <페미니스트> 작품은 백설공주와 왕자의 입맞춤이 방송되는 텔레비전과 그 옆에 페미니스트라는 영문 글자가 물줄기로 인해 그려지게 되는 작품이다. 백설공주와 왕자의 입맞춤 밑에는 ‘그녀는 왕자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라는 문구가 적혀있다.

(김유석, [Breath])

김유석 작가의 <Breath>이라는 작품은 외부인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내부 센서를 통한 허파의 움직임으로 불안한 인간의 감정을 표현한 작품이다. 작품에 가까이 다가가면 정상적인 허파의 움직임이 빠르고 불안하게 뜀박질하게 된다.

(박종영, [Marionette-eye])
박종영 작가의 <Marionette-eye> 작품은 나무 소재의 상반신의 사람 모양의 얼굴에 있는 눈이 센서에 의해 사람의 움직임을 따라가는 작품이다. 해당 작품 옆에 똑같은 사람 모양의 얼굴에 피노키오를 형상화하는 꽃이 달린 코 또한 센서에 따라 움직인다.

(이탈, [This Work Has No Ideology])

이탈 작가의 <This Work Has No Ideology>는 작품 제목의 ‘This Work Has No Ideology’ 영문자 판넬들이 소음, 접촉이 발생하게 되면 흩날리게 되는 작품이다. 흩날리는 판넬들이 우리의 불안한 심리를 표현해 준다.

(송희정, [Eye_holes-3])

송희정 작가의 <Eye_holes-3>의 작품은 작가의 실제 꿈에서 나타났던 일들을 작품으로 형상화 한 것이다. 작가가 그날 꿈을 꾸었던 날 덮었던 이불로 꿈에서 나타났던 형상 그대로의 옷을 갑옷처럼 여자의 형상으로 만들었다. 또한 작가가 직접 꿈에서 일어났었던 일들을 영상과 음성으로 전달해준다.

이번 전시를 관람하며 인간의 불완전함에 대해 생각해보게 되었다. 우리 인간은 누구나 서로 모순되는 이질적인 감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감정들은 작가들이 작품에 표현했던 것처럼 깨어있지만 꿈을 좇는 행위와 같이 우리는 현실에서 수많은 경험, 타인과의 관계를 통해 겪고 있다. 이러한 ‘이질적인 감정은 어쩌면 자연스러운 것이 아닐까?’라는 생각이 들게 된다. 인간이라는 존재는 창조될 때부터 불완전한 존재이기 때문에 이러한 이질적인 감정들이 떠오르는 것은 자연스러운 것이라 생각한다. 우리는 이러한 감정들을 겪으며 그 자체로 이미 불완전하기도 하지만 이미 완성된 인간이다. 작가들이 불완전한 인간에 대해 표현한 이번 전시를 한번 둘러보는 건 어떨까?

 

글/ 최승주 문화통신3.0 시민기자




2017 IAP 단편선 – 인천아트플랫폼 8기 입주작가 프리뷰 전시

촬영, 편집, 구성/ 김유라 문화통신 3.0 시민기자




버텀라인 3월 11일 ECM레이블 음악감상회

∗ 갤러리 사진을 누르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버텀라인 3월 10일 더 뉴 재즈 밴드 공연

∗ 갤러리 사진을 누르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인천아트플랫폼, 요코하마 뱅크아트1929와 교류 협약 체결

< 요코하마 항구에 자리잡고 있는 뱅크아트1929 외관 >

요코하마는 인천과 비슷한 점이 많다. 수도에 인접한 항구도시이며 공업도시라는 점, 개항장이었다는 점, 300만을 넘는 인구라는 점 등… 실제로 인천과 요코하마는 우호결연 관계를 맺고 시청 직원 간의 파견·교환 근무를 실시하면서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우호관계 속에서 인천아트플랫폼 역시 요코하마의 문화기관과 교류 협력 프로그램을 진행하게 되었다. 작년(2016)년 7월, 뱅크아트1929라는 곳에서 레지던시 프로그램과 관련하여 작가를 상호 교환하는 프로그램을 진행하지 않겠냐는 제안을 받았고, 이후 여러 차례의 논의를 통해 2017년부터 바로 실행에 옮기기로 하였다.

이에 따라 인천아트플랫폼 최병국 관장과 필자가 지난 2월 14일 요코하마 뱅크아트1929를 직접 방문하여 ‘인천아트플랫폼과 요코하마 BankART1929 간 협력 및 교류에 관한 협약’을 체결하고,

< 협력 및 교류에 관한 협약서에 사인한 뱅크아트1929의 오사무 이케다 디렉터(좌)와 인천아트플랫폼 최병국 관장(우) >

<협약서에 사인중인 최병국 관장과 오사무 이케다 디렉터>

작가 상호 교환 프로그램에 관한 세부 조건과 일정을 조정하였다. 뱅크아트 측에서는 쿠로다 다이스케라는 히로시마 출신의 작가가 6~8월에 인천아트플랫폼에서 창작 및 연구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며, 인천아트플랫폼은 전 입주작가를 대상으로 연내에 요코하마에 머물 수 있는 작가 1인을 모집, 선정하여 일본 체류를 지원할 계획이다. 아트플랫폼 작가가 일본에 가게 되는 시기는 요코하마 트리엔날레가 개최되는 8월~10월이 될 수 있도록 조율중이며, 세부 선정 조건은 늦어도 5월까지는 공고될 예정이다.

뱅크아트1929는 요코하마시가 추진하는 창조도시 사업의 일환으로 2004년에 설립되었다. 기관 명칭에서 유추해 볼 수 있듯이, 뱅크아트1929가 처음 시작된 장소는 1929년에 탄생한 제일은행과 후지은행 건물 2동이었다. 하지만 1년이 채 지나지 않아 도쿄예술대학 영상학과가 이전해 오기로 결정됨에 따라, 뱅크아트1929는 장소를 비워줘야 했고, 2005년 1월 ‘일본우선회사(NYK : Nippon Yusen Kaisha, 日本郵船会社)’소유의 현재의 건물로 이전하게 되었다. 인천아트플랫폼이 사무실로 사용하고 있는 D동 건물 또한 1888년에 지어진 ‘일본우선주식회사’라는 항만업 관계 회사의 업무용 건물이었다는 점에서 또 한 가지 재미있는 우연의 공통점을 찾을 수 있었다.

뱅크아트1929는 ‘공설민영’의 장점을 잘 구현하고 있다. 공공(요코하마시 정부)에서 설립하고 민간(뱅크아트1929)에서 운영한다는 뜻으로, 장소(건물)와 운영비의 일부를 요코하마시로부터 지원받고, 자체적인 운영프로그램을 기획, 진행하는 것이다.

< 뱅크아트1929를 관리하고 있는 요코하마 시청 문화관광국 창조도시추진부를 방문하여 직원들과 기념촬영 >

전시, 공연 등의 기획 프로그램, 레지던시 프로그램, 스쿨 프로그램에 더해 펍과 카페, 북샵(출판사업 연계)을 운영하고, 외부행사 유치(대관 및 코디네이션 사업) 및 네트워크 사업을 더해 연 9억원 가량의 자체 수익을 올리고 있다고 하니, 문화기관의 자생력 증진 차원에서도 참고할 만한 기관이다.

인천아트플랫폼은 이러한 요코하마 뱅크아트1929와의 관계를 시작으로, 앞으로 국제교류 사업을 적극적으로 확대하여 입주작가들의 해외 활동의 기회를 늘리고자 한다. 더불어 올 하반기부터는 기관 교류를 통한 작가 상호 교환뿐만 아니라 ‘국제 큐레이터 초청 프로그램’도 진행할 예정이다. 2017년은 인천아트플랫폼의 국제적 비상이 시작되는 새로운 해가 될 것이다.

< 다음 전시 준비로 설치 작업에 여념이 없던 뱅크아트 전시 공간(3층) >

< 방문일 당시(2017_02_14) 공연예술마켓인 TPAM2017이 진행중이던 뱅크아트 2층 공간_TAPM2017행사는 뱅크아트의 코디네이터 사업으로 진행된 것이다 >

< 뱅크아트1929 레지던시 프로그램에 참여 중인 대만작가의 스튜디오 >

————————————————————————–
1) 뱅크아트1929의 설립과정 및 운영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는 기관 홈페이지(www.bankart1929.com)의 PDF 소개자료 「All about BankART」, 「왜 BankART1929가 탄생했는가?」, 「BankART1929는 어디로 가는가?」및 출장 당시의 면담 내용을 참고하였다.

 

인천아트플랫폼 이영리

 




인천아트플랫폼 스튜디오 이사 스케치

촬영, 편집, 구성 : 시민기자 김유라




부평작가열전 네 번째 이야기 화가의 방

∗ 갤러리 사진을 누르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