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의 공간이 무대가 되다.

제 4회 15분연극제 × 인천

“실례합니다. 여기는 배우들이 등장할 무대입니다. 조금만 옆으로 이동해주세요.”

‘15분연극제 × 인천’을 진행하면서 가장 많이 했던 말이다. 인천아트플랫폼의 카페, 거리, 공원 등의 일상공간을 무대로 활용하는 것은 올해로 4회째 이어지는 ‘15분연극제 × 인천’만의 특색이다. 극장에서의 연극 관람이 낯선 인천 시민들을 위해 아티스트들이 직접 일상의 공간으로 나서는 것이다. 길거리에서 전단을 나눠주며 공연을 보러오라고 외치는 이른바 ‘호객행위’도 금물이다. 관객들에게 일상의 공간이 무대로 변하는 순간을 경험할 기회를 주기 위해서다. “여기가 무대라고요?”하며 의아해하던 사람들은 배우가 등장하자 이내 작품 속으로 빠져들었다.

무대를 가운데에 두고 양쪽에 관객들이 앉으며, 관객을 무대에 앉히기도 하고, 난간에 늘어선 관객들 틈을 배우들이 비집고 다니는 등, ‘15분연극제 × 인천’의 대부분의 작품은 ‘제 4의 벽’을 허문 상태였다. 제 4의 벽은 무대를 하나의 방으로 설정하고, 방의 한 쪽 벽을 제거하여 관객이 볼 수 있도록 하며, 그 안의 배우들은 관객을 의식하지 않고 실재의 방에서처럼 연기한다는 사실주의 이론이다. 제 4의 벽을 허무는 보통의 시도가 사실주의에서 벗어나 관객들을 이성적으로 만들기 위함인 것과는 정반대로 ‘15분연극제 × 인천’에서 제 4의 벽을 허무는 다양한 시도는 관객들을 작품 속으로 더 끌어들이는 것으로 기능한다.

특히 백석현 연출의 <터미널 여관>은 관객을 무대에 앉힘으로써 관객들이 인물에게 온전히 감정을 이입할 수 있도록 했다. 사랑하는 사람을 쫓아 모든 것을 버리고 집을 떠난 딸과 그런 딸의 집에 찾아온 엄마의 이야기를 담은 작품은 엄마와 딸이 마주보고 대화를 한다는 설정이지만, 엄마와 딸의 앞에 각각 한 명의 관객을 앉혔다. 배우는 상대 배우에게 건네는 대사를 마주 앉은 관객의 눈을 바라보며 건넨다. 시선을 둘 곳을 몰라 방황하던 관객들은 배우와 눈을 맞추고, 그의 이야기를 경청하기 시작한다. 극이 막바지로 치닫으면서 관객들은 극 중의 엄마 혹은 딸이 된 것처럼 눈물을 흘리기도 하고, 배우를 껴안으며 토닥이기도 한다. 무대를 가운데 두고 둘러앉은 나머지 관객들은 무대 위에서 배우와 눈을 맞추는 관객을 매개로 하여 극 안으로 빠져든다.

인천아트플랫폼의 철제 난간에서 펼쳐진 공연 <프로포즈>는 객석과 무대의 경계를 없앤 채로 배우가 관객들 틈에 서기도 하고, 1층과 2층을 오가며 벌어진다. 연극 공연을 관람한다기보다 실제로 눈앞에서 벌어지는 다른 이의 프로포즈 장면을 목격하는 느낌으로 다가간다. 샐리에게 프로포즈를 거절당한 댄이 그 자리에서 처음 보는 릴리에게 프로포즈를 하고, 뜬금없이 프로포즈를 받은 릴리가 결혼 승낙을 하는 내용은 현실에서는 일어날 리 없는 상황이다. 하지만 프로포즈를 목격하는 행인이 되어 극 속으로 들어간 관객들은 인물들이 처한 상황을 이해하고 공감하기에 이른다. 프로포즈를 거절당한 댄에게, 헌신할 준비가 되지 않았다며 거절하는 샐리에게, 자신을 위해 헌신하는 데 두려움이 없는 사람을 찾고 있던 릴리에게 자신의 경험을 비추어 감정을 이입하는 것이다.

올해 15분연극제 × 인천에는 기존에 참여하던 연극 연출가뿐 아니라 다른 장르의 예술가들이 연출에 참여하여 색다른 분위기를 자아냈다. <여자친구와 고양이>는 음악감독 옴브레의 첫 연극 연출 도전작으로, 고양이 알레르기를 가진 남자와 고양이를 사랑하는 여자의 로맨스를 특유의 ‘B급 감성’과 재치 있는 음악으로 풀어내며 관객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또한 홀로 남겨진 여자와 집을 관리하는 A.I.의 사랑이야기를 담은 <Maryanne>은 두 명의 연출가에 의해 전혀 다른 분위기의 연극으로 재탄생했다. 댄스컴퍼니 명의 최명현 연출은 <데이비드>라는 제목으로 원작을 각색했다. 대사를 줄이고, A.I.를 사랑하게 된 남자의 혼란스러운 감정을 무대 조명과 음악, 그리고 신체의 움직임으로 표현했다. 대사와 행동을 통해 인물의 감정을 읽는 것에 익숙했던 관객들이 현대무용의 매력을 맛볼 수 있던 기회였다. 극단 작은방의 신재훈 연출은 같은 작품의 제목을 <옥출이>로 바꾸고 주제곡을 유재하의 「그대 내 품에」로 설정하여 한국관객의 정서에 한 발 짝 더 다가갔다. 또한 희곡에서는 목소리로만 등장하던 A.I.를 실제 배우의 모습으로 무대에 등장시켜 인간과 A.I.의 교감을 강조했다. 사랑하는 사람들을 잃고 혼자 남겨져 기계를 사랑하게 된 주인공을 연기한 박옥출 배우의 호연도 큰 호응을 얻었다.

제 4회 15분연극제 × 인천의 국제교류아티스트로 선정되어 한국을 방문한 데이비드 루이슨은 모든 공연을 관람하며 참여한 아티스트, 관객들과 대화를 나누었다. 로스앤젤레스에서 주로 활동하는 그는 ‘미국의 많은 사람들은 뉴욕에만 좋은 공연이 있다고 생각하지만 LA에도 수많은 예술가들이 좋은 공연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인천의 상황이 LA의 상황과 비슷해보인다’고 말하면서, ‘개항의 역사가 남아있는 동네와, 바로 어제 지어진 것 같은 신도시가 공존하는 인천에 큰 매력을 느꼈다. 그런 인천의 일상공간에 예술가들이 게릴라처럼 등장했다 흩어지는 모습이 놀랍고 신선했다. 앞으로도 15분연극제 × 인천이 꾸준히 지속되면 좋겠다’고 말했다.

 

글/ 김진아(인천문화통신3.0 시민기자, 15분연극제 × 인천 코디네이터)
사진/ 박수희(I-view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