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아트플랫폼 입주 예술가: 이은새, 이희준, 정금형

인천아트플랫폼 입주 예술가 소개
인천아트플랫폼은 국내외 다양한 장르의 예술가들을 공모로 선발하여, 창작 공간을 지원하고 입주 예술가의 연구와 창작 역량 강화를 목표로 한 비평 및 연구 프로그램, 창·제작 프로젝트 발표 등의 레지던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인천문화통신 3.0을 통해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는 2021년 인천아트플랫폼 12기 입주 예술가를 소개합니다.

■ 이은새 LEE Eunsae

이은새는 일상에서 마주하는 다양한 불만과 그것에 반응하는 저항의 시도 또는 상상들을 수집하고, 이를 이미지로 기록한다. 최근에는 이미지를 생산하고 소비하는 방식에 대해 고민하면서, 쉽게 대상화되는 다양한 인물에 관심을 두고, 규정되거나 순응하기를 거부하는 이미지의 피사체를 그려나가고 있다. 작가는 인천아트플랫폼 입주 기간 동안 단순한 표현과 반복되는 형식 그리고 변주된 장면들을 통해 만들어낸 리듬의 형식을 이번에는 인물화에 대입해보고자 한다. 반복되는 형태의 인물과 미세하게 변주된 인물들이 함께 뒤섞인 장면을 연출하면서, 더욱 심화된 내용적 접근과 기술적 연구를 이어갈 예정이다.

Q. 전반적인 작품 설명 및 제작과정에 관해 설명해 달라.

A. 나는 회화와 드로잉 작품을 주로 선보이고 있다. 다양한 환경과 층위에서 마주하는 경직되고 고정된 상태를 잠깐이나마 흔들어 볼 수 있는 단서들을 수집하고, 이를 회화로 기록한다. 최근에는 규정되거나 순응하기를 거부하는 대상들을 화면에 기록하고 있으며, 인물이 중심이 되는 연작을 시도하고 있다.
나는 캔버스 작업 전 단계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는 편이다. 먼저 생각을 드로잉으로 기록하고, 그 드로잉이 생각을 잘 정리하여 담아낼 수 있을 때까지 같은 이미지를 반복해서 그린다. 그 이후에 반복되는 형태들 사이에서 의도를 잘 담아낸 표현을 선택하여 캔버스 위에 옮긴다.

<As usual at bar>, 캔버스에 오일과 아크릴릭, 90.9×72.7cm, 2020 <As usual on the bed>, 캔버스에 오일과 아크릴릭, 90.9×72.7cm, 2020

Q. 자신이 생각하는 대표작 또는 전시와 앞으로의 작업 계획에 대해 말해 달라.

A. 내가 생각하는 대표 작업은 2018년에 발표한 <밤의 괴물들> 연작이다. 술에 취한 여성을 주제로 삼았던 작업이었다. 술 취한 여성을 생각할 때 쉽게 떠오르는 타자화되고 대상화되던 이미지가 아니라, 실제로 내가 마주친 인물들을 기억에서 끌어와 캔버스 위에 재현했다. 주변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밤의 해변을 기분 좋게 산책하는 여자부터, 억지로 마신 술을 토하고 그 토사물을 상대방에게 권하는 사람, 지구대에 앉아있는 친구들, 산발을 한 채 거칠게 이를 드러내고 있는 사람까지 다양한 상황 속의 인물들을 그렸다. 이들은 만취했어도 자유로운, 새벽 어귀에서 구토하고 쓰러지더라도 약자가 되어 범죄의 대상으로 존재하기를 적극적으로 거부하는 인물들이다. 위협을 가하기 쉬운 밤이라는 시공간에서 인물들은 무방비한 상태가 아니라 공격적으로 쏘아보고 행동하는 밤의 괴물로서, 오히려 상대를 향해 끔찍한 반격을 할 준비가 되어있는 자들로 표현했다. 이 작업을 하면서 고민이 많았지만, 당시의 생각을 타인에게 설득하거나 공감을 얻어내고 이미지로 표현하는 과정에서 배운 것도 많았다.
내게 작업은 내가 이해하는 혹은 기대하는 세계를 시각적으로 풀어보는 과정이다. 나 자신을 설득하기 위해, 고민을 기억하기 위해 작업을 하고 있지만, 작업의 결과를 타인과 공유하는 과정 역시 새로운 원동력이 되는 것 같다. 지금까지 회화 위주의 평면 작업을 하고 있지만, 최근에는 다른 매체를 다루는 상상도 해보곤 한다. 내가 다루고 있는 회화의 특징들이 물리적 공간 안에서 효과적으로 드러날 수 있는 방식에 대해 고민하고 있다.

작가정보: www.leeeunsae.com

■ 이희준 LEE Heejoon

이희준은 서울을 비롯한 동아시아 지역의 도시를 여행하며 수집한 장면을 바탕으로 회화작업을 진행했다. 최근에는 작가를 둘러싸고 있는 주변 환경을 여행자의 시선으로 바라보며 도시가 생산해내는 다양한 문화, 경계, 자본 등의 요소를 개인이 어떤 방식으로 소비하고 어떤 영향을 받는지 탐구 중이다. 올해 레지던시에 머물며 진행할 《Image Architect》 전시에서는 2016년부터 이어온 도시와 건축에 대한 관심을 포토콜라주 기법과 추상회화로 표현한 시리즈 작업을 선보일 예정이다. 작가는 도심 곳곳에서 찾아볼 수 있는 건축적 환경에 어떤 방식으로 반응하고 개입할 수 있을지 실험하며 작업을 이어나갈 계획이다.

Q. 전반적인 작품 설명 및 제작과정에 관해 설명해 달라.

A. 나는 ‘우리가 살아가는 도시와 각각의 구성단위 그리고 도시의 환경이 우리의 미적 선택과 어떠한 관계를 형성하는가’에 관한 고민을 바탕으로, 도시에서 포착한 풍경을 추상화된 방식으로 표현한다. 작업은 도시를 걷는 것으로 시작된다. 거리를 직접 걸으며 마주하는 도시의 풍경을 수집하고 그 안에서 어떤 조형적 형태를 찾는다. 2018년부터 2019년까지 진행한 <A Shape of Taste> 회화 연작은 변화하는 건축의 표면과 감각에 집중해 동시대의 기호 혹은 한 지역의 취향 및 감각을 읽어내는 작업이다. 거리에서 만나는 취향과 감각이라는 비물질적인 대상을 사진으로 채집한 후, 드로잉과 추상화 과정을 통해 하나의 회화적 기호로 담아냈다. 거리에서 발현되는 도시의 여러 감각들을 네모난 캔버스 프레임에 담아냄으로써, 대중적이면서도 개별적인 ‘누군가’의 취향과 감각에 접근하려는 시도였다.

《The Tourist》 전시 전경, 레스빠스71, 서울, 2020
<Barcelona Pavilion no.1>, 캔버스에 아크릴릭, 사진 콜라주, 160x160cm, 2020 <Barcelona Pavilion no.2>, 캔버스에 아크릴릭, 사진 콜라주, 160x160cm, 2020

Q. 자신이 생각하는 대표작 또는 전시와 앞으로의 작업 계획에 대해 말해 달라.

A. 가장 최근에 있었던 개인전 《The Tourist》(레스빠스71, 서울, 2020)를 꼽을 수 있겠다. 본 전시에서는 여행을 어떤 방식으로 저장하고 추억하는지에 대해 이야기했다. 여행의 과정에서 습관적으로 찍게 되는 핸드폰 사진은 눈으로 대상을 즐기는 여행의 즐거움을 데이터 메모리 칩 속에 작은 파일로 대체하게 만든다. <The Tourist>(2020) 연작을 통해 핸드폰 속 작은 데이터로 존재하는 여러 여행의 기억을 회화적 세계로 불러오면서 경험, 기억, 감정, 촉감과 같은 것들을 우리가 어떤 방식으로 소비하고 기억하는지 생각해봤다.
나는 ‘몇 년 뒤에는 이런 것을 해야지, 이렇게 살아보고 싶다.’라는 생각을 하기도 했지만, 계획대로 되는 것이 없었다. 하지만 항상 새로운 시도를 하며 더 나아가기 위해 꾸준히 매일매일 노력할 것이다. 나는 아름다운 작업을 만들고 싶다. 작업을 매개로 사람들과 대화하며 지속적으로 교류할 수 있으면 좋겠다.

작가정보: www.heejoonlee.com

■ 정금형 JEONG Geumhyung

정금형은 무용가, 퍼포머, 안무가, 작가로서의 독특하고 독자적인 영역을 구축해왔다. 올해 작가는 신작 <장난감 프로토타입(가제)>을 제작할 계획이다. 8월 중 처음 공개될 이 작업은 2019년 쿤스트 할레 바젤 개인전에서 선보인 첫 번째 로보틱 조각 작품 <홈메이드 알씨 토이>에서 비롯된 로봇 우화 시리즈 중의 하나이다. 매 단계 진화하는 작가의 ‘장난감’, 즉 그의 로봇은 비전문가인 작가가 스스로 공부하며 습득한 지식을 기반으로 직접 제작하는 DIY 로봇이다. 작가의 ‘장난감’ 설계 계획은 끊임없는 문제에 봉착하지만, 또 의외로 그럴듯하게 해결되는 과정을 반복한다. 완성된 로봇들은 서투른 동작으로 느릿느릿 움직이며, 의도하지 않은 움직임을 만들어낸다.

Q. 전반적인 작품 설명 및 제작과정에 관해 설명해 달라.

A. 나는 주로 사물과 몸의 관계에 대한 작업을 해왔다. 인형극에서 배우가 인형과 관계 맺는 방식, 배우가 자신의 몸을 움직이면서 인형을 조종하고 사물에 생명을 부여하는 행위에 흥미를 느끼면서 작업이 시작되었다. 대학에서 연극을 전공하면서 몸의 움직임과 무용에 관심이 생겼고, 졸업 후 무용과 대학원에 진학하면서 사물과 함께 움직이는 안무에 접근하기 시작했다. 작품의 제작과정은 적절한 사물들을 수집하는 것에서 출발한다. 수집한 사물들을 이렇게 저렇게 조합하여 인형 캐릭터가 갖춰지면, 그 캐릭터와 함께 움직여보는 과정을 거친다. 작업은 주로 솔로 퍼포먼스 형식을 취해왔으며, 최근에는 퍼포먼스 외에 영상과 설치의 형태로도 선보이고 있다.

《7가지 방법》 설치 전경, 테이트 모던, 런던, 영국, 2009 《홈메이드 알씨 토이》 설치 전경, 쿤스트할레 바젤, 바젤, 스위스 2019
《개인소장품》 전시 전경, 아뜰리에 에르메스, 서울, 2016

Q. 자신이 생각하는 대표작 또는 전시와 앞으로의 작업 계획에 대해 말해 달라.

A. 지금까지 해온 작업들을 통틀어 보았을 때, 몇 갈래로 나누어진다. 그 갈래들의 문을 열어준 시작점으로써의 작업들을 기준으로 말하자면 <7가지 방법>(LIG 아트홀, 서울, 2009), <개인소장품>(아뜰리에 에르메스, 서울, 2016), <홈메이드 알씨 토이>(쿤스트 할레 바젤, 바젤, 스위스, 2019) 이렇게 세 개의 작업을 꼽을 수 있겠다. <7가지 방법>에서는 사물을 다루는 몸의 테크닉과 퍼포먼스의 형식을 갖추었고, <개인소장품>에서는 사물을 늘어놓는 나름의 방식을 취하게 되면서 퍼포먼스 외에 설치와 전시의 형태로 작품을 선보일 수 있게 되었다. <홈메이드 알씨 토이>에서는 기계 장치를 직접 만들기 시작했는데, 이 작업을 통해 지속적으로 반복하여 수행할 일거리가 생겼다.
인천아트플랫폼 입주 기간에는 앞서 언급한 <홈메이드 알씨 토이>의 시리즈 작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현재 기계 부품들을 수집하여 이리저리 붙여보면서 움직이는 장치를 만들어보려고 끙끙거리고 있다. 이 시리즈 작업은 앞으로 꽤 오랜 시간 동안 반복하며 계속해서 발전시켜나가게 될 것 같다.

* 작가에게 제공 받은 사진과 인터뷰 글을 바탕으로 인천아트플랫폼에서 작성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