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하지 않는 것 ; 차기율의 고고학적 풍경

수평적 세계를 껴안는 방법 ver 6. 차기율
답하지 않는 것 ; 차기율의 고고학적 풍경

인천아트플랫폼에서는 2019년을 마무리하고 2020년의 시작을 여는 기획전시로 《수평적 세계를 껴안는 방법》이 12월 20일부터 2020년 5월 6일까지 진행되고 있다. 이번 전시는 한국 현대미술의 대표적인 작가들 중 인천 연고를 가진 중견작가를 재조명하는 전시로 참여 작가 각자의 작품 세계관을 살펴보자는 취지를 가지고 있다. 인천문화통신 3.0에서는 3월부터 5월까지 매월 2명씩 참여 작가들의 작품에 대한 비평글을 만나본다.

 

차기율, <순환의 여행-방주와 강목사이>, 종이위에 콘테, 연필, 200x70cm, 2010-2013
차기율, <순환의 여행-방주와 강목사이>, 종이위에 콘테, 연필, 오일컬러, 200x70cm, 2013

답하지 않는 것 ; 차기율의 고고학적 풍경

자연은 아름다움을 목적으로 하지 않음에도 미의 근원이 된다. 있는 그대로의 자연에서 미적 경험을 이끌어내는 인간의 특성과 자연과 같은 미적 상태를 궁극으로 추구하는 욕구가 결합한 지점에 예술작품이 존재한다. 다시 말해 예술의 형태로 자연에 감정을 이입하고, 그것을 재현하고, 추구하는 경향은 자연과 예술의 관계에 관한 오랜 역사를 만들어왔다. 차기율이 “순환의 여행”, “고고학적 풍경”과 같은 이름으로 자신의 작업을 자연적 상태와 연계하는 방식 역시 이러한 역사에 뚜렷한 지점을 남기고 있다. 이는 그가 자연에 내재한 순수한 목적을 발견하고, 그것을 자신의 작업 안에 그대로 보존하는 것을 통해 나타난다.

그는 이천 년대 이후, 고비사막이나 호주의 중앙 사막과 같은 척박한 오지에 이끌려, 그곳을 걷고, 방랑하는 고행자적 태도로 자신과 자연의 관계에 대한 본능을 일깨운 것으로 보인다. 자연에 대한 이러한 직관은 자신의 신체를 거대한 자연 안에 숨 쉬게 하고, 자신 안에서 자연이라는 원초적 고고학을 발굴하는 과정이다. 자연이 수행하는 순수한 목적이 예술이 지녀야 할 순수한 상태와 연계되어 운동하는 것이다. 이것이 가장 잘 드러나는 것은 그가 선택한 작업의 소재이다. 그는 자신의 삶 주변에 가장 역동적 자연의 형태인 서해와 인천의 갯벌에 주목한다. 한국의 갯벌은 지구적으로 손꼽히는 규모와 생태적 다양성을 품은 것으로, 차기율은 그 독특한 환경을 생태적 미술의 질료이자 언어로 삼은 것이다.

차기율, <고고학적 풍경>, 소성된 갯벌,철, 249x962x30(h)cm, 2019

그는 <고고학적 풍경>에서 갯벌에 생성되는 다양한 게집을 그대로 떠낸다. 그리고 이를 구워내는 소성 과정을 통해 밀물이 들어오면 이내 사라져 버리는 갯벌의 게집을 단단한 테라코타로 만든다. 각각의 테라코타는 하나의 단위와 같이 집적되고 또 하나의 거대한 대지가 되어 전시장 위에 놓인다. 이렇게 자연의 순환 속에 있는 대상을 미적 조형물로 전환하는 일은 자연과 인공이라는 구분 자체를 모호히 하고, 오롯이 자연을 사유함이 예술 자체의 근원이자 또한 경험을 관통하는 공통의 어휘임을 보여준다.

특히 그의 작업이 갯벌 위에 무수하게 펼쳐진 게집을 사각의 형태로 떼어내고, 그것을 다시 하나하나 구축하여 미적 영토로 변화시키는 방식은 인간의 필요와 요구에 따라 파괴되는 자연 대상의 나약함과 더불어 그것이 지닌 근중한 힘과 자기 목적성을 암시하는 양가적 합일을 지닌다. 이는 가다머(Gadamer)가 『진리와 방법』에서 칸트의 미학을 설명하면서, 자연의 순수가 인간과 그 사회적 악덕을 전혀 알지 못하는 상태로, 우리에게 무언가 말해 줄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한 것과 같이, 자연은 인간에게 피동의 대상임과 동시에, 인간이 회귀할 근원적 장소임을 드러낸다. 따라서 그가 채집하여 구축한 “고고학적 풍경”은 생태적 문제의식과 자연의 순환 모두를 아우른 상태로 우리 앞에 펼쳐진다.

차기율, <땅의 기억>, 판넬위에 흙, 나뭇잎, 흑연, 120x62cm, 2002
차기율, <땅의 기억>, 판넬위에 흙, 나뭇잎, 흑연, 120x62cm, 2002

그는 어느 인터뷰에서 “관객이 자신의 작품에서 보았으면 하는 것이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해, 작품은 자기 스스로를 성찰하며 자아를 완성하는 과정이며, 작품 자체는 관객이 질문은 던지는 대상이기 때문에 정답이 없다고 말한다. 즉 작품은 관객의 자유를 통해 온전히 관객이 보고 느껴야 하는 대상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생각은 그가 작품이 마치 자연의 대상과 같이 관조되기를 바라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자연은 아무 것도 답하지 않지만, 그 답을 찾아내는 것은 그 앞에 선 우리이기 때문이다. 자연의 아름다움이 미에 대한 특정한 의도나 목적을 지니고 있지 않고, 오히려 이것을 미로 이끄는 것은 자연과 관계하는 인간의 감각과 미의식이듯이, 자연의 존재 방식의 환유를 통한 그의 작품 또한 묵묵히 발현하는 성찰의 대상으로 우리 앞에 운동하고 있는 것이다.

글/ 구나연 (미술비평가)

차기율 작가 인터뷰 작가 인터뷰 영상 바로가기

*차기율(b.1961-, 경기도 화성 출생)은 드로잉, 페인팅, 사진 등 광범위한 매체의 실험과 설치작업을 통해 우주의 기원과 순환, 자연의 유기적 생성과 소멸에 대한 작업을 이끌어 왔다. 그는 자연에 감정을 이입하고, 자연에 내재된 순수한 목적을 발견하는 방식으로 현대 인류가 고민해야 하는 근원적 문제와 인간과 자연, 문명이 상호 보완하면서 상생하고 화해해야 하는 관계성에 대해 고민한다. 최근에는 자연의 순환원리에 의해 성장하고 변모되어온 사물에 작가로서 최소의 의견을 더하여 개입함으로써 자연이 지니는 원초적 힘과 가능성을 존중하는 작업을 실험하고 있다. 이러한 작업들을 통해 자연과 인간의 상호 보완적 관계를 통해 생명의 본질과 태도를 성찰하며 인류의 수직적 성장과정과 수평적 연대 과정을 추적하고자 한다. 그는 샤머니즘과 토테미즘, 범신론적 관점을 기저에 두고 ‘부유하는 영혼’, ‘땅의 기억’, ‘사유의 방’, ‘순환의 여행’이라는 주제로 작품 활동의 영역을 넓혀 왔으며, 이 주제들은 상호 유기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다.
<순환의 여행/ 방주와 강목 사이>는 자연의 순환원리로서, 그 원리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는 인간 삶의 존재를 의미한다. 얼히고 설킨 넝쿨 나무를 연상시키거나, 자연 상태의 배 형상을 연상시키는 이 구조물은 일종의 배, 노아의 방주와도 같은 구원의 배를 상징한다. 작가는 작품을 통해 문명과 인류의 발전 안에서도 자연의 치유의 과정을 통해서만 인류는 구원될 수 있다는 메시지를 함축하고 있다. <고고학적 풍경/ 불의 만다라>는 인천을 거대 도시와 생명을 품은 바다가 접해있는 지역으로 보고, 강화도의 갯벌 흙을 구워 제작한 것으로 지역의 역사성과 생태학적 가치에 주목한 작품이다. 테라코타로 흙을 구워 일정한 크기의 게의 구멍(집)이 모여 거대한 갯벌을 이루는 그의 작품은 스펙터클한 시각적 효과를 자아내는 동시에 환경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일으킨다. 그의 작품은 자연과 인간의 상호보완적 관계를 환기시키며 인류의 수직적 성장과 수평적 연대 과정을 추적하고 고민하게 한다.
차기율은 인천대학교와 동 대학원에서 회화를 전공했으며, 현재 인천대학교 조형예술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첫 개인전 부유하는 영혼전(단성갤러리, 1992)을 시작으로 서울, 인천, 로스앤젤레스, 버몬트에서 개인전을 선보였고, 국내외 다수의 그룹전, 프로젝트에 참여해오고 있다.

*구나연은 미술비평가로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이론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2008년 제 1회 플랫폼 문화비평상을 받으며 비평 활동을 시작하여, 한국과 일본의 동시대 미술에 관한 여러 평론을 써 왔다. 현재 한국예술종합학교에 출강 중이며, 저서로는 『표류의 미술』(2018)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