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래된 기억 장소의 내일을 짓는다
<인천아트플랫폼 10주년> 황순우 건축사 인터뷰

최근 인천 원도심 재생사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그동안 주목받지 못했던 근대건축물이 문화유산으로 재조명받고 있다. 인천아트플랫폼은 개항기 근대건축물 밀집 지역인 해안동 일대에 위치하면서, 동시에 일제 수탈의 역사가 남아 있는 곳이기도 하다. 오래된 창고가 있는 인천 중구 해안동 일대를 리모델링하여 조성된 인천아트플랫폼은 신축건물이 아닌 재생 건축이기에 그 출발부터 새로운 접근이 필요했다.
인천아트플랫폼이 올해로 개관 10주년을 맞았다. 인천아트플랫폼 조성 단계부터 완공까지 MA(Master Architect)로서 10년 장기 프로젝트를 이끌었던 황순우 소장(바인건축사무소 소장, 전주 팔복예술공장 디렉터)을 다시 만났다.

한때 (가칭)중구미술문화공간으로 불렸고, 인천아트플랫폼으로 명칭이 확정된 후 2009년에 개관하여 올해 10주년에 이르렀다. 인천 중구 해안동 일대의 도시계획에서 ‘문화시설용지’로 지정하고 MA로 역할을 맡으며, 건축설계를 직접 하셨다. 그 첫 출발이 궁금하다.

황순우 건축사 : 1998년 중구청에서 여기 개항장 일대 개발계획을 담은 용역을 추진했는데, 그중 일부는 아파트로 짓겠다는 계획이 있었다. 그렇게 두어서는 안 되겠다 싶어 뜻있는 사람들끼리 스터디 그룹을 만들었다. 지역 활동가, 대학교수 등 한 열 명이 모여서 퇴근 후 제 사무실에서 함께 공부했다. 그중 과장급 공무원들도 있었으며, 그분들 도움이 매우 컸다. 왜냐하면 저희 같은 전문가는 새로운 방향과 무엇을 해야 할지를 이야기하지만, 이를 정책에 반영하고 시의 행정으로 실행하기까지는 굉장히 어렵다. 그런데 그분들은 그 방법을 잘 알았고, 추진할 수 있는 길을 안내해 주었다. 특히 당시 신문식 주택건축과장이 인천시에 정책제안 자리를 만들었다. 당시 남기명 행정 부시장을 초청했고, 발표를 보시고 나서 좋은 정책제안으로 받아들이고, 도시계획에 반영하여 시작할 수 있었다.
먼저, 어떻게 이곳에 있는 근대유산을 보전할 것인지에 대한 보존작업과 두 번째 그 주변의 정비계획, 세 번째는 활성화 방법으로 앵커시설로서 문화시설 용지로 만드는 것이었다. 그때 일반도로를 포함해서 만든 것은 인천아트플랫폼이 유일하며, 이 도로가 포함되어 오늘날과 같은 단지형 구성이 가능했다.
도시계획 작업을 2000~2003년까지 오랫동안 수행했고, 2004년부터 아트플랫폼 조성 사업을 시작하게 되었다. 최기선 시장 때부터 시작했는데, 그동안 담당 국장이 일 년마다 바뀌면서 담당자와 과장도 자주 바뀌었다. 전문가가 들어와서 지속성 있게 5년이든 10년이든 그 사업을 할 수 있도록 처음 MA(Master Architect) 제도를 2004년에 도입하게 되었다. 국내에서도 선진 사례였고, MA 제도를 통해 권한을 받고 이끌어 갈 수 있었다. 그렇게 안 했으면 여기까지 오지 못했을 것이다.

저는 2007년 처음 아트플랫폼(당시 중구미술문화공간) 공사 현장을 방문했었다. 현재 H동 건물이 당시 금마차 다방이었고, 벽에 온갖 낙서와 세월의 흔적, 삐걱대던 마룻바닥 등이 기억난다. 부지 규모가 상당하고 대부분 낡은 창고 건물들이었기에, 소위 말하는 가성비를 따진다면 모두 허물고 새로 건축을 설계하고픈 생각도 있었을 것 같다. 어떻게 ‘재생’의 관점에서 바라보고, 단지 규모의 문화공간 블럭을 상상하고 실천할 수 있었는지 궁금하다.

황순우 건축사 : 대부분 공간을 활용적 가치로 생각한다. 우리는 수많은 사람들이 오가고 또 시간 속에서 만들어지는 공간의 ‘장소성’을 중요하게 생각해야 한다. 왜냐하면 이곳은 이미 130년 전에 개항되었고, 사람들이 이 장소에 많은 것들을 담아놓은 자리이기 때문이다. 어떤 기능적이거나 경제적 가치로만 따져서 장소를 허물어 버리면, 우리가 가진 사회적, 역사적 가치들은 어떻게 할 것인가? 비록 하찮은 것이라도 소중하게 다뤄서 각자가 간직한 기억들을 공유하게끔 해야 한다고 생각했고, 지키고 싶었다. 하나밖에 없는 공간이기 때문에 사람들은 매력을 느낀다. 가령 신축 아파트와 건물이 들어선 인천 송도 신도시에 매력을 느끼기보다, 편리하다고 이야기할 것이다. 그런데 아트플랫폼에는 긴 세월 속에서 만들어진 시간의 흔적이 있고, 하나밖에 없는 공간이 있다. 독일 카셀에서 요셉 보이스가 했던 작업 중 7천 그루의 떡갈나무와 현무암을 떠올리면, 자라나는 떡갈나무는 그 도시의 변화라고 생각한다. 변하지 않는 것은 현무암인데 그것이 역사고 기록이다. 도시가 가지고 있는 변하지 않는 가치에 대해서 요셉 보이스는 이야기했고, 아마 그런 존재이기를 바란 것 같다.

인천아트플랫폼 10주년 기념 전시 <오버드라이브 2009-2019>에서는
황순우 건축사가 총괄건축가로 활동하면서 수집하고 기록한 자료들을 만날 수 있다.

2008년 인천문화재단에 중구미술문화공간 개관준비 TFT가 꾸려지고 그때 처음 건축사님을 만나게 되었다. 당시 지역에서 레지던시 개념이 자리 잡지 않았고, 지자체 행정에서도 생소한 개념이었으리라 생각된다. 시립미술관이 없었던 인천시에 레지던시 개념을 담은 현재의 인천아트플랫폼 기능의 기초작업에서 어떤 그간의 논의와 조력이 있었는지 설명해 달라.

황순우 건축사 : 초기에 ‘예촌’이라고 불린 적도 있는데, 예술가들이 사는 마을이라고 막연하게 명칭을 붙인 것이다. 그러다 보니 사람들이 이곳을 점유해서 정주하는 곳으로 기대했던 것 같다. 그런데 많은 예술인을 만나고 논의할수록 점유하는 공간에 대해 큰 우려가 있었다. 공간을 만들고자 했을 때는 이곳을 어떻게 공유하고 가치를 나눌까를 고민했지, 특정 예술가와 특정 예술단체들이 장기간 이곳을 점유하는 장소로 계획한 것은 아니었다. 당시 박신의 교수(경희대학교)와 차기율 교수(인천대학교)가 큰 도움을 주었다. 한시적인 정주 환경을 갖추면서도 이 도시를 예술가들이 바꿀 수 있는 방식을 고민했다. 결국 예술가들이 도시에 들어와야 하는데 그 방식으로 레지던시를 고민했다. 차기율 교수는 창동미술창작스튜디오와 미국 버몬트 스튜디오 레지던시 경험을 소개해주었고, 많은 도움이 됐었다. 2000년에 개관한 일본 교토아트센터를 많이 참고했는데, 옛 초등학교를 활용하여 예술성과 시민성에 대해 고민하면서 그 공간을 만든 사례이다.
당시 2004년만 해도 레지던시 개념이 잘 알려지지 않았었고, 인천에 그걸 한다니까 욕도 많이 먹었다. 그때 ‘300명의 예술가가 모여서 살면 이 도시가 바뀐다’고 생각했다. 내 자신의 슬로건이기도 하다. 예술가들이 여기 들어와서 활동하고 그 예술가들이 도시 주변에 남았으면 좋겠고, 여기에 앵커 시설을 만들어 놓으면 많은 작가가 전시도 하고 여기에 필요한 시스템을 만들어 놓으면 모여들겠다는 생각을 초기에 막연하게 했었다.

2009년 9월 인천아트플랫폼의 개관은 전국적인 이슈가 되었던 사건으로 기억한다. 일례로 한국문화예술위원회는 ‘레지던시프로그램 지원사업’을 광역문화재단을 통해 가능하겠다는 동기부여가 되었고, 지자체별 유휴공간, 도시재생을 키워드로 앞다투어 벤치마킹하기 위해 필수방문코스로 삼기도 했다. 건축가로서 아트플랫폼의 개관 의미를 설명해 주시라.

황순우 건축사 : 우리는 결과 중심적이어서 어떤 큰 건물이나 큰 축제, 혹은 가시적인 큰 행사를 한다. 하나의 생태계가 만들어지기까지 새로운 시스템을 고민하면서 생산, 소비, 유통이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창작공간과 전시, 향유 공간을 구성했다.
그런데 사람들은 아트플랫폼을 자꾸 대중성으로 받아들인다. 저는 아트플랫폼이 예술성과 시민성을 갖고 예술이 가진 가치가 시민들한테 보편적인 가치로 받아들여지는 곳이기를 원했다. 그런데 혹자는 아트플랫폼이 개관했는데 왜 이렇게 사람이 없는지, 결과가 무엇인지 묻는다. 이런 이야기를 들을 때마다 가슴이 아팠다. 아트플랫폼은 예술의 씨를 뿌리는 작업이었다. 또한 이곳은 예술계에 있어서 심장과 같은 곳이라고 생각한다. 문화도시가 된다면, 우리는 씨를 뿌려서 사람들이 피를 공급하고 순환하게 하고 뭔가 생산을 하는 곳이지, 여기가 무슨 술집과 시장판처럼 사람들이 북적이는 것을 목표로 하는 곳은 아니다. 이곳은 도시 재생적 관점에서 굉장히 오랜 시간 동안 천천히 만들어졌다. 최초 기획부터 근 20년이 걸렸다. 현재 많은 도시가 도시재생을 한다면서 출발했다가 점차 망해가고 있다. 준비가 안 되었고 시간은 짧은데 돈이 갑자기 들어오니까, 한 2, 3년 만에 집값이 다섯 배로 뛰면서 많은 도시가 몸살을 앓다 열기가 식으며 또다시 악순환되는 과정을 밟고 있다. 물론 여기도 준비가 충분하지 못했지만, 굉장히 긴 호흡 속에서 명확한 콘셉트를 가지고 출발했기 때문에 지금까지 올 수 있었다.
건축가나 도시계획가가 도시를 바꾸는 게 아니다. 창조적인 생각을 하는 예술가나 청년들이 도시를 바꾼다. 이 지역도 예술가들에 의해서 조금씩 바뀌어 가는 매력을 지니며, 그런 도시 재생적 의미에서 인천아트플랫폼 개관의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아트플랫폼 공간에 여백을 많이 담고 싶다고 언급한 적이 있다. 또 일례로 공간과 공간, 단지와 단지마다 다리로 연결했는데, 이 다리가 단순히 기능성뿐만이 아니라 예전에 이곳이 매립되기 전에 수로가 있었고 그 길을 재현했다고 알고 있다.

황순우 건축사 : 이 브릿지는 나눠진 두 블록을 연결하는 기능이 있다. 사실은 이 다리와 도로를 기점으로 이곳은(현재 H동) 육지였고, 저기 삼우인쇄소(현재 A동)가 있던 단지는 바다였다. 그러니까 이 브릿지는 어떻게 보면 바다와 땅을 연결하는 큰 틀의 개념이었다. 그럼 다리를 어디로 연결할까 고민을 하다가 자유공원에서부터 쭉 내려오는 하수구, 옛날로 말하면 물이 지나가는 수로를 발견했다. 아트플랫폼은 개별 창고 건물이 13개가 되다 보니 중간에 회랑을 만들어 전부 다 연결했다. 각 건물이 독립적인 기능을 하지만 다 따로 존재한다. 하나의 독립성을 갖지만 어떻게 유기적으로 연결할지 생각하면서 브릿지를 만들고 엘리베이터 두 대를 만든 것이다.

아트플랫폼을 통해 인연이 된 예술가, 기획자들과 직접 전시 프로젝트도 만들었고, 이후 문화관광체육부 등 정부 주도 도시재생 프로젝트, 문화도시 등등 굵직한 문화사업에 자문, 심의 등등 중요한 역할을 하고 계시다. 아트플랫폼 건축가로서의 커리어를 스스로 어떻게 평가하는가?

황순우 건축사 : 저는 물론 건축가다. 아트플랫폼을 계기로 건축가가 이 사회에서 해야 할 역할에 대해 고민하게 되었다. 학생 때 건축가가 멋있는 건물을 짓는 사람으로 주로 학습을 받았다면, 최근에는 이 사회 속에서 건축의 가치들을 통해서 무엇을 사회와 소통하고 나눌 것인가에 대한 건축가의 역할로 달라질 수 있다고 생각하기 시작했다.
건축이 원래의 장소를 읽어가는 작업부터 그 콘텐츠에 대한 프로그램들을 어떻게 구동할지를 고민하면서 진행하다 보니 저 또한 저절로 기획자가 될 수밖에 없다.
2010년 처음으로 설치작업이란 걸 하게 되었다. 한국근대문학관 건립 전, 비어있는 건물에서 “이사사이” 전시에 초청받아 작업하면서 정말 멋도 모르고 예술가 흉내를 냈었다. 이후 2012년부터 개인전을 다섯 번 한 것 같다. 그러면서 나름 예술가가 갖는 고민, 예술의 행위에 대해서도 좀 더 깊이 고민하고. 예술계에서 예술 활동을 하는 작동시스템에 대해서도 조금이나마 알게 되었다. 이후 제가 팔복예술공장에서 기획자 역할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유휴공간을 새롭게 바꾸는 작업은 2015년부터 문화관광체육부에서 단장을 2년 동안 맡으면서 지금도 계속하고 있다. 문화도시 심사를 지난 2년간 해왔고, 지금은 문화도시 정책자문을 하고 있다.


10년차에 접어든 인천아트플랫폼이 전국 예술 씬에서의 포지션과 그 성과 및 한계, 인천 지역에서 갖는 기대와 앞으로의 과제 등에 대해서도 한 말씀 부탁드린다.

황순우 건축사 : 이 공간을 구성할 때 예술성과 시민성에 대한 부분을 많이 고민했고, 그것이 함께 구현되기를 기대했다. 결국에는 예술의 가치를 시민들과 어떻게 관계맺을 것인가가 관건이다. 특히 예술가가 자기 창작 작업만 하고 끝내는 게 아니라 어떻게 시민과 지역에서 접점을 만들고 예술의 가치를 실현할지에 대해 아트플랫폼 운영 조직이 함께 고민하지 않으면 지역의 불만을 해결하기 어렵다고 본다. 크게 보면 인천아트플랫폼은 우리나라에서 상징적인 예술공간이다.

저는 팔복예술공장을 ‘예술을 하는 곳’으로 정체성을 두었고 모두가 동의했다. 아카데미도 안 한다. 생활예술도 안 한다. 그냥 여기는 예술을 한다. 아이도 하고 어른도 하고 예술가도 하고 모두가 다 예술을 하는 곳. 그런데 진짜 그렇게 닮아 간다.
아트플랫폼만의 정체성을 빨리 견고히 했으면 좋겠다. 예술은 우리의 생각을 말랑말랑하게 해주고 이런 감성적인 것들을 만들어 준다. 이 세상에 보편적 가치로서의 예술이 중요하고, 그래서 예술교육을 한다. 이러한 예술성이 이곳에서부터 종자가 되어 뿌려지기를 바란다. 이것이 인천아트플랫폼의 역할이라고 생각한다. 아트플랫폼은 이 지역에서 예술의 씨앗이고, 심장과 같은 역할을 하는 곳이다. 근대사가 기록된 삶의 터전이었고, 여러 가지 역사적 사건 속에서 문화적인 갈등이 심했던 곳인데 이를 치유하고 극복할 수 있는 게 과연 무엇일까. 저는 그것이 예술이며, 이 도시의 정체성이기도 하다고 생각한다.


인터뷰 진행·정리
변순영(인천문화재단 기획홍보팀장)

사진 / 박지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