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민규 SONG Mingyu

송민규는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조형예술과 예술사와 예술전문사 과정을 졸업하였다. 작가는 풍경의 경험에서 나온 데이터들을 가공하거나 분류하고 체계화하여, 기호와 상징, 장식으로 이루어진 화면으로 시각화하는 방식에 대해서 회화적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2016년부터 2018년까지 현실에 기반을 둔 허구적 이미지로 구성된 풍경에 관심을 두고, 정반합의 논리를 이용한 전시 3부작 (SFD: Science Fiction Drawing)을 기획하여, 정신적 노동과 수련, 개인의 규칙, 욕망의 풍경, 서사구조가 없는 장식들을 보여주었다.

금속과 설탕의 결합술(Combination of Metal and Sugar)_Acrylic on Canvas panel_29×40cm_2018

# Q&A
Q. 창작의 관심사와 내용, 제작 과정에 대하여
A. 최근 몇 년간 체계적인 시스템 만들기에 몰두했다. 불편한 사회시스템에서 나온 불안한 감정들이 자연스럽게 작업으로 전이되었고, 풍경 같은 소재를 이용해서 무능한 시스템에서 나온 불만들을 그려내기 시작했다. 대부분 작업은 작가 스스로 만든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시스템에 관한 미완성된 방식을 얘기한다. 더불어 작업실의 잦은 이동과 변화된 삶의 태도로 인해 자연스럽게 작업의 방식도 바뀌게 된다. 이를테면 시간 대비 작업 제작 방식이나 완성된 작업의 보관법, 혹은 작품 이동 방법에 더 신경 써야 하는 현실적인 문제 때문에 작업 진행의 효율성, 모듈화에 따른 규격, 그에 따른 경제적 가치가 적용된 작품 제작 매뉴얼 만들기에 더 몰두하고 있다. 대체로 작업은 몇 가지 언어 혹은 수치의 조합으로부터 발생한 드로잉(그래픽) 작업으로부터 시작한다. 규칙적으로 생산되는 드로잉들은 시간, 장소, 상황, 규격, 언어, 숫자 등으로 구분되었다가, 평면작업으로 옮겨질 때 조합의 요소로서 작동된다. 규칙적으로 생성하는 드로잉들을 이용해서 그래픽 작업으로 번안시킨 후, 다시 회화로 옮기는 형식의 단계로 인해 감흥적인 태도가 최소화된, 정제된 회화 작업으로 만들어진다.

펼쳐진 달 1 / Unfolded Moon 1_Acrylic on Canvas panel_78×270cm (78×54cm, 5piece)_2018

Q. 자신이 생각하는 대표 작업(또는 전시)은 무엇이고 이 이유는 무엇인가?
A. 2016년에 기획한 SFD(Science Fiction Drawing)는 전시 3부작으로 《수영장 끝에 대서양》(경기도미술관, 2016), 《낮보다 환한》(스페이스 캔, 2017), 《금속과 설탕의 겹합술》(KSD갤러리, 2018)이 있다. 각각(은) ‘수영장’, ‘어두운 밤’, ‘결합술’이라는 키워드를 가지고 규칙과 시스템 안에서의 노동과 수련, 비이성적 시대의 뒤틀린 욕망의 풍경, 서사구조가 빠지거나 의미작용이 없는 주변 풍경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작업으로 구성된 전시들이다. 세 전시 모두 내가 경험한 일상의 풍경을 소재로 삼고 있다. 작가의 수영 배우기 풍경이자, 수영 연습과도 같이 반복했던 시각 기호로의 번역 훈련이 담긴 ‘개인적 풍경’과, 부조리한 민낯이 드러난 2016~2017년의 암흑기. 그때 발견한 한국 사회의 어두운 밤 풍경 위에 대부도의 인공위성과 인천항의 조명, 인천공항으로 선회하는 비행기의 궤적들이 포개진 ‘사회의 풍경 ’ 그리고 서사를 해체하고 의미가 지워진 이미지들의 우발적인 관계 맺기로 형성된 ‘추상적 풍경’을 전시에 담아냈다. 최근에 이르러 작가의 작업이 단순히 그 자체로 완결되는 것이 아닌 전시 경험과 작업의 전후 맥락까지 포함하는 좀 더 큰 기획의 범주까지 확장되는 경향이 있다. 나 역시 이 지점에 관한 고민으로부터 시작했다.

SFD Part 1-A 야심적이고 의욕적인_Acrylic on Paper_144×132cm_2015
SFD Part 2-B 수영장 끝에 대서양_Acrylic on Paper_118×336cm_2015

SFD Part 3 (1-100) / 4 (1-10)_Acrylic on Paper_29×40cm / 65×40cm_2016
《수영장 끝에 대서양》 전시 전경_경기도미술관_2016

Q. 작업의 영감, 계기, 에피소드 등
A. 10여 년 전부터 편집 디자인 일을 하고 있었다. 대체로 작가들의 아티스트 북이나 미술관의 전시 도록을 만드는 일이다. 디자인 작업을 위해 자료를 취합한 후 분석해서 일관된 데이터로 변화시키고, 페이지 내부로 정립하는 과정, 편집의 규칙이나 인쇄물의 판형 그리고 인쇄 기법을 정하는 일련의 과정들이, 회화 작업을 위해 수집한 언어와 이미지들을 계량화, 패턴화, 수치화한 후 템플릿(Template)을 만들어 화면 안에 정렬하는 현재 작업의 방식과 무척 닮아있다. 편집 작업에서 데이터들을 정돈하고, 빈틈없이 구성하고, 꾸미고, 조절하는 행위들은 나를 기민하게 만든다. 이런 과정에서 출발한 모형, 견본, 다이어그램, 레이아웃 실험, 메모, 드로잉들은 자연스럽게 작업의 계기가 된다.

정신노동자의하루_Acrylic, Stainless steel, Vinyl sheet_294×577cm_2016

최근 3년간의 평면 작업을 설명하는 사전을 준비 중이다. 300여 점의 SFD시리즈 작업을 중심으로 작업에 사용된 언어와 수치가 이미지로 번역될 때의 과정, 템플릿의 숨겨진 기호들을 해설하는 형식을 가지고 있다. 클라이언트와 디자이너, 그리고 작가. 이 세 개의 주체가 충돌하는 지점, 출판 목적의 당위성을 발견하지 못한 점, 글을 잘 쓰지 못하는 점이 고민이다.

SFD Part 5;시화공단 공구상가_Acrylic on Canvas_100×240cm_2017

Q. 예술, 그리고 관객과의 소통에 대하여
A. 내가 그림을 그리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림 자체의 특성상 작가 스스로가 가지고 있는 서사적인 구조를 언어로 장황하게 설명하지 않아도 되는 점이다. 그리고 작업 시스템을 만드는 일련의 과정은 시스템에서 나온 불안한 내 감정을 제어하는 데 큰 의의가 있다. 작업하는 의미 자체가 내 불편한 감정들을 떨쳐낼 수 있는 간단한 방법이면서 동시에 중요한 지점임에도 불구하고, 그 방법들을 타인에게 내세우거나 설명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다. 조금 부끄럽지만, 나는 지금껏 미술이 해야 할 일에 대한 고민이나, 관객과의 소통에 대해서 진지하게 생각해 본 적은 없었다. 물론 예술이 사회에서 작동해야 하는 필요성에 관해서 이야기할 수 있겠지만, 내 작업을 중심에 두고 예술에 관해 이야기하려니 낯부끄러운 마음에 항상 이런 종류의 질문으로부터 도망쳤다. 곰곰이 생각해보니 미술가로서 가져야 할 문제의식이 실제 살아가는 내 개인의 문제와 적절한 교집합을 찾지 못해, 그런 질문에 대한 대답을 미룬 것이 아닌지 생각한다.

회색개론 / Gray Outline_Acrylic on Canvas panel_38×26cm (28piece)_2018

Q. 앞으로 작가로서의 작업 방향과 계획에 대하여
A. 2016년부터 2018년까지 변증법 논리의 정반합(正反合)을 이용한 전시 3부작 프로젝트는 내가 작가로서 사회화되는 과정을 그려냈던 것 같다. 뒤틀린 욕망의 풍경 안에서 내가 겪었던 비이성적인 사건과 적당한 관계에 대한 고민에서 시작한 작업으로 인해 적당한 합(合)까지 당도했지만, 또 다른 문제를 마주하게 되었다. 나에게 작업은 반복되는 실패의 연속이다. 새로운 ‘정(正)’에 해당하는 이야기를 가져야 하는가에 대한 고민과 그에 따른 새로운 작업 시스템을 만들 수 있는가에 대한 의문이 든다. 고정된 구조 속에서 진화하는 시스템을 고안하고, 한 곳의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나아가는 작가로서의 미학적 실천을 하고 있지만, 매일 작업을 구상하고 그것들을 그려내는 행위들은 아직도 길들지 않았다. 앞선 이야기들을 전제로 반복되는 실패를 극복하는 방법에 대한 고민이 있다.

낮보다밤이환한지역 3_Acrylic on Canvas_100×100cm_2017

SFD 3부작 전시 중, 레스터(Raster) 형식의 이미지와 벡터(Vector) 이미지의 간극에 대한 고민에서 파생된 작업은, 평면작업이 회화적일 것을 바라는 지점에서 나온 다른 형식의 회화적 연구이기도 하다. 벡터 이미지에서의 선은 보이진 않지만, 허공에 분명히 그어지는 선과 닮아있음을 느낀다. 마치 검술을 연마하는 검객이 허공에 칼을 가르는 행위처럼 허공에 선을 긋는 순간에는 여러 이야기를 가지지 않는다. 주위를 뚜렷하게 바라보는 태도와 삶을 단순하게 정리하고 싶은 작가로서의 욕망을 작업에 그대로 투영하고 싶다.

어둠의 속도_Acrylic on Canvas_180×720cm_2016

Q. 작품 창작의 주요 도구, 재료는?
A.

작가정보 : grcube@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