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호진

인천아트플랫폼 입주작가 소개
올 한 해, 인천아트플랫폼에 입주해 활동할 2018 예술가 레지던시 프로그램의 새로운 주인공들이 뽑혔습니다. 인천아트플랫폼 레지던시 프로그램은 국내외 다양한 장르의 예술가들을 대상으로 연구와 창작활동을 극대화 시킬 수 있도록 창작지원 프로그램과 발표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 한 달에 두 번, 인천문화통신 3.0을 통해 2018 레지던시 프로그램 입주 작가를 소개합니다.

 

윤호진은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사진과 관련매체를 전공하였고, 사진과 이미지를 생산해내는 기술 매체에 대해 관심을 갖고 작업해오고 있다. 작가는 이미지가 만들어지기의 과정 그리고 이를 구성하는 시스템에 대해 이야기한다. 이를 통해 이미지에 대한 비판적인 수용과 확장된 사진의 영역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전 연구를 통해 이미지의 가변성과 유목성에 관심을 가져왔던 작가는 아트플랫폼에서 그동안 진행해 온 ‘이미지 연구’를 선보일 예정이다. 그리고 이차적인 이미지를 생산하는 ‘매체’의 상태와 조건을 탐구하고, 미학적으로 실험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작가가 작업에 사용하는 이미지들은 서사가 없는 재료로써, ‘실재의 재현’이 아닌 ‘이미지가 재현한 이미지’에 중점을 둔다. 작업을 통해 작가는 사진이 자연스럽게 이어받은 존재론적 지위에 대한 질문을 던지고자 한다. 즉 기술 매체로 재현된 오늘날에 소비되는 사진적 이미지또는 사진 같은 이미지를 학문적으로 리서치하며 창작해나가고자 한다.

#투명 #반투명 #불투명, #반사_파운드 이미지, 디지털프린트_30x42cmx3개_2017

# 현재 전시 소개

윤호진 작가의 개인전 <Inanimate Assembly>가 인천아트플랫폼 윈도우갤러리에서 9월 10일(월)부터 9월 30일(일)까지 진행된다. 기존에 작업해 온 시각 연구작업 Re:re:의 일환으로 전시명과 동일한 새 작업 ‘인애니메이트 어셈블리(Inanimate Aseembly)’를 전시한다. 이 작업은 평소 관심 있던 이차적 생산 사진 이미지(스크린 이미지와 잡지 프린트 이미지)로부터 시작하여 작가는 사진 설치를 통해 매체의 원본과 복제, 예술작품의 사후 생에 대해 질문을 던진다.

전시 포스터 <인애니메이트 어셈블리(Inanimate Aseembly)>

# Q&A
Q. 창작의 관심사와 내용, 제작 과정에 대하여
A. 나는 주로 사진 이미지를 가지고 작업한다. 전통적인 매체를 사용하여 오늘날 사진의 지위에 대한 이야기를 작업으로 풀어내고 있다. 사진작업을 제작하는 방식은 매우 다양하다. 예를 들자면, 사진을 촬영하기 위한 어떤 특정한 물체(오브제)를 제작하는 것부터 작업을 시작할 수도 있다. 즉, 오브제를 만들고 촬영한 뒤, 이를 다시 물질적인 형태로 옮겨 이미지를 완성하기까지 모든 과정에 참여하는 방식이다. 또는 프린트된 이미지 등과 같이 이차적 이미지를 생산하는 것에서 시작할 수도 있고, 물질화된 이미지를 다시 주변 환경과 조율하여 설치 작업으로 진행하는 경우도 있다.

 
국제기준규격(Commercial Size ISO) A0~A4_스톡 이미지, 스틸, 랩 테이프, 디지털 프린트, 액자 설치_2017   국제기준규격(Commercial Size ISO) A0~A4_설치전경_2017

나의 작업 <[Re]:>에 쓰인 많은 사진 이미지들은 사진을 구성하는 다른 조건들과 동등한 가치를 지닌다. 다시 말해, 사진 이미지 하나하나가 작업의 재료로 활용되기 때문에, 작품이 놓이는 주변 환경에 따라 의미와 크기가 달라지기도 한다. 이처럼 나의 작업들은 대부분 눈앞에 물리적인 형태는 있지만, 최종적인 형식의 것(final form)은 없는 경우가 많다. 나의 작업이 사진 매체의 모호함을 환기해주기를 바란다.

[RE]:[Re]:_청주스튜디오_설치 전경_2017

Q. 대표적인 작업 소개
A. 현재 진행하고 있는 <[Re]:>가 나의 대표 작업이다. <[Re]:>라는 제목의 이 작업은 인터넷 도메인에서 소통할 때 정보가 오고 가는 것을 뜻하는 아이콘인 “Re:”을 차용하였다. <[Re]:> 는 포스트 인터넷 시대에 인식과 이미지의 관계로 구축된 우리의 시각적 체계에 대한 사고적 수용을 제안하기 위한 사진연구이다. <[Re]:>는 작업이 업데이트될 때마다 [Re]:[re]와 같은 형식으로 계속 진행된다. 이는 재매개(Remediation)를 내포하고 있다.

Re:re:re:_디지털 프린트_2011

Q. 작업의 영감, 계기, 에피소드 등
A. 나는 밀레니엄 시대에 속한 세대이다. 커뮤니케이션, 매스미디어, 컴퓨터 테크놀로지에 영향을 많이 받았고, 대중문화에 관심이 많다. 청년기를 캘리포니아에서 지냈기 때문에, 색의 온도 혹은 빛 온도에도 민감한 편이다.
나는 나의 작업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것이 분위기라고 생각한다. 이를 표현하기 위해서 조명의 ‘빛의 색’을 조절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나의 작업에는 미국 초창기 컬러 영화에서 쓰인 색들의 상징성과 빛 온도를 표현하는 색들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 이에 대해 앞으로 공부를 더 해 볼 생각이다.

 
빛 온도(Color Temperature)_디지털 프린트_2015   Untitled_블라인더, 디지털 프린트, 설치_ 2017

The Bather_디지털 프린트_27x33in_2015

Q. 예술, 그리고 관객과의 소통에 대하여
A. 나는 작업이 작가의 순수한 자기 물음에서부터 시작되어, 스스로 선택한 기술적 매체를 통해 시각화된다고 생각한다. 개인적이고 사소한 질문이 때로는 공적인 질문이 될 수 있다. 사적인 관심이 대중화되어 나타날 때 자연스럽게 관객과 소통될 것이라고 믿는다. 그렇기 때문에 ‘관객과의 소통을 위한’ 작업을 따로 하지는 않고 있다.

 
Over and Under_Hand cut wooden frame, Digital Print _30x150cm_2017   기계적 원근법 연구(Perspective Study)_디지털 프린트_30x40in_2012

Q. 앞으로의 작가로서의 작업 방향과 계획에 대하여
A. 진행하고 있는 이미지 연구 작업인 <[Re]:>를 이어갈 생각이다. 작업을 진행하며 ‘이미지의 위상’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작업의 방향이 많이 바뀔 것으로 생각한다. 현재 나는 공부와 리서치에 몰두하고 있다. ‘이미지’라는 방대한 주제를 다루다 보니, 작업 중에는 계속 <[Re]:>를 연구하며 이를 업데이트할 예정이다.

 
피사계 심도(Depth of Field)_디지털 프린트_30x40in_2016

Q. 작품 창작의 주요 도구, 재료는?
A.